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고용지표가 양호했던 데다 국채 금리의 상승도 제한되면서 급등했습니다.

5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72.16포인트(1.85%) 상승한 31,496.30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3.47포인트(1.95%) 급등한 3,841.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6.68포인트(1.55%) 오른 12,920.15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이번 주 약 1.8% 올랐고 S&P500 지수는 0.8%가량 상승했지만, 나스닥은 약 2.1% 내렸습니다.

시장은 고용 등 주요 지표와 미 국채 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습니다.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훨씬 양호하게 나오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했습니다.

미 노동부는 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37만9천 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는데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 21만 명 증가보다 많았고 지난 1월 고용도 4만9천 명 증가가 16만6천 명 증가로 상향 조정됐습니다.

실업률도 6.2%로 전월 6.3%에서 하락했는데 시장 예상 6.3%보다도 낮았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으로 부진했던 레저 및 접객 분야 고용이 35만 명 이상 증가했는데 코로나19 둔화에 따른 경제 재개가 고용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는 셈입니다.

향후 경제의 추가 개방 등을 고려하면 고용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란 기대가 부상했습니다.

고용이 양호했지만, 미 국채 금리 상승세는 제한됐던 점도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습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고용지표 발표 직후에는 1.62% 부근까지 순간적으로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 차츰 반락하며 1.5%대 중반으로 다시 내렸습니다.

주요 지수도 장 초반에는 금리 상승 탓에 불안정했지만, 금리가 레벨을 낮추자 빠르게 반등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는 금리 상승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란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우리가 더 비둘기파적으로 될 필요성은 지금 맞지 않는다"며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현재 옵션으로 보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전일 시장의 기대와 달리 채권 금리 상승 억제 의지를 명확하게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불러드 총재 발언 등에도 이날 금리는 크게 동요하지 않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주가지수가 큰 폭 상승 마감하긴 했지만, 장중 변동성은 여전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장중 고점과 저점의 차이가 800포인트를 넘었다. 나스닥은 장중 한때는 전장 대비 2.5% 이상 추락하기도 했는데

상원에서 논의 중인 미국의 1조9천억 달러 부양책은 다소간의 수정을 거치며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상원에서는 실업보험 추가 지원 규모를 주당 400달러에서 300달러로 줄이는 대신, 지원 기간을 한 달가량 늘리는 것으로 법안을 수정했습니다.

상원에서도 조만간 부양 법안이 가결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상원 의결이 끝나면 해당 법안은 하원 표결 절차를 다시 거치게 됩니다.

이날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오른 가운데, 기술주가 1.97% 반등했고 에너지는 유가 급등에 힘입어 3.87% 올랐으며, 산업주도 2.39%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다른 경제지표는 다소 부진했습니다.

미 상무부는 1월 무역적자가 전월 대비 1.9% 늘어난 68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는데 시장 전망치 676억 달러보다 많았습니다.

연준은 1월 소비자신용(계절 조정치, 부동산 대출 제외)이 전달 대비 13억 달러 감소했다고 발표했는데 연율로는 0.4% 줄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고용 호조에도 금리 상승세가 진정된 점이 증시에 동력을 제공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베리베츠 증권의 그레고리 파라넬로 미국 이자율 담당 대표는 "오늘 고용지표는 경제가 광범위하게 재개방될 것임을 확인했다"면서 "미 국채 10년물에 대한 투매는 금리 1.6% 부근에서 탄탄한 매수세에 직면했고, 이 점이 주식과 크레딧 시장에 지지력을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4.0% 반영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3.69% 하락한 24.66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조 바이든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의 의회통과를 기다리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이 미국채금리 상승을 가져왔고 결국 금리인상 공포를 다시 불러냈습니다

미 FRB 인사들이 나서서 시장참여자들을 안심시키고 있지만 시장참여자들은 이를 곧이곧데로 믿지 않는 눈치입니다

중앙은행인 FRB가 신뢰를 잃는 다는 건 통화정책이 불신을 받는다는 것이고 이는 곳 시장이 통제권을 벗어나 시장의 실패로 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FRB에 대한 불신감이 시장 참여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