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범도 장군 유해를 서거 78년 만에 고국으로 모셔와 독립한 조국의 땅에 모셨지만 그 위쪽에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무덤이 버젓이 있는 것은 우리가 아직 해결하지 못한 친일파척결의 현 주소를 말해 주는 것 같습니다
18일 대전현충원 애국지사3묘역(917번)에 안장된 홍범도 장군 묘소에서 직선거리로 모두 350m 안쪽에 친일매국노들의 무덤이 위치해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7월 대전현충원 장군2묘역에 안장된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의 경우 홍 장군 묘소에서 도보로 불과 4분 거리인 340m 지점에 자리해 있는데 일제 때 간도에서 독립군을 잡으러 다니고 조선인들에게 온갖 만행을 저지른 간도특무대의 간부를 지낸 백선엽과 독립군 홍범도 장군님이 같은 공간에 영면한 것은 분명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백선엽을 비롯한 5인은 지난 2005년 발족한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이하 진상규명위)가 4년 반에 걸친 조사 끝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알려진 인물들로 진상규명위는 이들을 포함해 이완용, 민영휘, 송병준, 김성수(동아일보 창업주), 방응모(조선일보 사주) 등 1006명에 대해 일제에 적극 협력을 이유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밝혀냈습니다.
김석범, 백홍석, 송석하, 신현준은 정부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하기 이전에 국립묘지법에 명시된 '장성급 장교'라는 이유로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는데 그러나 백선엽은 정부에서 친일반민족인사로 공인 후 사망했음에도 논란 끝에 지난해 7월 대전현충원에 안장됐고 당시 정부가 내세운 이유는 '안장을 막을 관련법이 없다'였습니다.
이로 인해 사후 78년, 봉오동전투 101년 만에 고향땅에 묻힌 홍범도 장군이 국가공인 친일반민족행위자 5인과 함께 대전현충원에 안장되는 상황이 벌어졌는데 서울현충원까지 포함하면 현충원에 안장된 친일반민족행위자는 김백일, 김홍준, 신응균, 신태영, 이응준, 이종찬, 백낙준 등 12명에 달합니다.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후손들이 여전히 기득권자로 우리 사회에서 큰 소리 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인데 관련 법을 제정하여 파묘하는 것이 국립묘지 운영규정에 부합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후손 중에 부끄럼을 아는 분들은 스스로 국립묘지에서 파묘하고 이장하는데 후안무치한 이들은 뻔뻔하기 그지 없이 우리가 낸 세금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인 그들 조성의 묘를 관리하게 하고 있습니다
독립전쟁에서 일본군과 목숨을 걸고 전투를 벌여 승리하신 독립군들을 때려잡아 일제에 충성하겠다고 날뛰던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우리 세금을 낭비하며 두다리 뻗고 자고 있다는 건 참을 수 없는 모욕이라 생각됩니다
홍범도 장군님 묘에 인사드리러 갈 때 친일반민족행위 묘도 찾아가 침이라도 뱁고 와야겠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져 버린 아프칸 정부군 부정부패가 만든 현대판 당나라군대 (0) | 2021.08.22 |
---|---|
일본 코로나19 확산세 의료시스템 붕괴 조짐 (0) | 2021.08.22 |
전북 군산 어청도 해상 규모 4.0 지진 발생 원전 안전엔 이상 무 (0) | 2021.08.21 |
보수언론의 아프카니스탄 사태 비교 보도 기레기들의 시대착오적인 헛소리 (0) | 2021.08.21 |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2주 연장 발표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