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제유가가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주요 산유국 모임) 국가들의 산유량 동결 소식에 폭등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다음달에도 감산조치를 이어간다 발표한 가운데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을 제외한 대부분 산유국들이 석유생산량을 늘리지 않는다고 발표하면서 공급부족 우려가 크게 부각됐습니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배럴당 2.55달러(4.2%) 폭등한 63.83달러에 장을 마감했는데 2019년 4월 이후 최고가로 올라섰습니다.

이날 급등세는 OPEC+ 회의 결과 주요 산유국들이 내달 산유량을 이달과 동일한 수준에서 동결한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는데 앞서 시장에서는 OPEC+가 일일 약 50만배럴 이상 산유량을 늘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일일 100만배럴 감산을 3월까지만 추진한다 앞서 밝혔고, 계절적 요인으로 석유 수요가 크게 올라간데다 백신접종과 코로나19 확산세 둔화에 따른 수요 증가에 산유국들이 증산에 나설 것으로 기대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장의 예상과 달리 사우디는 감산을 4월에도 지속하며 5월에도 감산을 이어나갈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커졌는데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이 각각 하루 13만배럴, 2만배럴 증산을 허용할 뿐 다른 주요 산유국들이 이달 생산량과 동일한 수준으로 산유량을 동결하면서 공급부족 우려가 크게 부각됐습니다.

이에 WTI는 OPEC+ 회의 결과 발표 직후 장중 한때 5.1%이상 급등하기도 했으나 미 국채금리의 급등에 따른 금융시장 전반의 불안감이 장 후반에 퍼지면서 상단은 제한돼 4.2% 상승세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코로나19사태로 위축되었던 세계 경기가 코로나19백신 접종으로 다시 기지개를 피면서 경기활성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OPEC플러스의 생산량 동결은 시장에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감을 키우기에 충분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구 북반구가 겨울철을 벗어날 때 난방유 소비가 줄어 국제유가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때문에 수요가 줄어든 상태에서 경기활성화로 수요만 늘고 공급이 그대로인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자연스럽게 국제유가를 밀어 올린 것으로 평가됩니다

아울러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달러가치를 희석시켜 더 많은 달러를 받아야 한다는 심리를 산유국들에게 준 것 같습니다

이미 인플레이션이 현물시장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