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공식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기에 직면했는데 남은 부채를 갚지 못할 것 같다고 시인하자 중국 정부도 실무단을 파견하는 등 부산하게 움직이는 모양새입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헝다는 홍콩 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당사는 2억6000만 달러(약 3076억 원) 상당의 채권과 관련한 상환 의무를 이행하라는 요구를 받았다”며 “회사는 재정적 의무를 계속 수행할 만큼 자금이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헝다는 또 “상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면 채권단은 다른 채권에 대한 조기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고 중국 현지 언론들은 헝다가 언급한 다른 채권이 달러채를 의미한다고 전했습니다.



WSJ는 이번 공시가 막대한 역외 부채가 더는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을 사실상 처음 인정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당장 헝다 앞에 놓인 상환액은 3000억 원 수준이지만, 언급한 대로 채권단이 다른 채권의 조기 상환까지 요구할 경우 그 규모는 대폭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현재 헝다가 보유한 달러채 규모만 192억3600만 달러에 달하기 때문에 중국 기업의 역대급 파산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입니다.



헝다가 두 손을 들자 중국 정부도 다급히 움직이고 있는데 광둥성 정부는 이날 늦게 “헝다의 요청에 따라 회사 위험 관리를 돕기 위한 실무단을 파견할 것”이라며 “실무단은 회사 위험 관리와 내부 통제를 감독할 뿐 아니라 정상적인 운영을 유지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유관 기관들과 함께 광둥성 정부에 협력해 헝다 사태를 해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광둥성 정부는 쉬자인 헝다 회장을 소환해 문책성 회의를 열었는데 헝다를 돕겠다는 발표는 회의가 끝난 후 나왔지만, 회의에서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닛케이아시아는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헝다가 역외 부채 상환 연장이나 상환액 감소를 요청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하지만 외국 채권단은 중국 채권단에 부여된 것과 동일한 상환 조건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협상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헝다 채권자에 대해 외국인채권자와 중국 내부 채권자를 차별한다면 중국은 큰 신용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성장성이 높다는 기대감으로 중국기업에 투자되었던 대규모 외국인 자본이 이탈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3조달러에 달하지만 외국인자본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면 감당하기 어려운 위기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7년 IMF구제금융 직전에 일본자본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국가부도 위기에 내몰린 경험이 있습니다

 

중국도 성장통을 경험하는 것으로 부동산투기로 일어난 부동산 재벌들이 부동산 버블이 꺼지면서 사상누각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