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뉴욕 증시가 급락했는데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임스 불라드 위원이 당장 내년부터 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발언으로 증시가 크게 후퇴했습니다.

18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533.37포인트(1.58%) 내린 3만3290.08을 기록했고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55.41포인트(1.31%) 밀린 4166.45를, 나스닥 지수는 130.97포인트(0.92%) 하락한 1만4030.38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로써 주간으로 다우는 3.5%, S&P500은 1.9%, 나스닥은 0.2%씩 내렸고 다우의 주간 낙폭은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입니다.

이날 증시는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의 발언 이후 급락했는데 블라드 총재는 CNBC방송의 '스쿼크박스'에 출연해 연준이 이번주 다소 "매파적"으로 기운 것은 당연하다며 내년 금리가 오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블라드 총재의 발언 이후 월가공포 지수는 5월 21일 이후 최고로 치솟기도 했습니다.

달러도 치솟았는데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4월 중순 이후 최고로 뛰었고 주간으로는 1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뉴욕 소재 인버니스카운셀의 팀 그리스키 수석투자전략가는 로이터에 "오늘 시장의 매도세가 놀랍지 않다. 너무 오래 동안 강세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이제 차익실현이 보인다"고 말했고 이어 "다음주 더 많은 연준 위원들의 연설이 예정됐다"며 "매파와 비둘기파의 위원들 발언에 따라 증시는 오락가락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게다가 이날은 이른바 '네 마녀의 날'로 이미 상당한 변동성이 예고된 날이었는데 주가선물, 옵션과 개별 주식 선물, 옵션의 만기가 겹치며 증시는 요동쳤습니다.

경제 재개방에 민감한 종목들이 주로 내렸는데 S&P500의 11개 업종 중에서 에너지와 산업이 각각 주간으로 5.2%, 3.8% 내렸고 금융과 소재 역시 6% 이상 밀렸습니다.

이미 시장은 여러번 통화긴축에 대한 신호를 받은 상황으로 제임스 불라드 위원의 발언이 단초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전부터 여러번 강조했지만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 양적완화를 너무 오랫동안 시행하면서 과잉 유동성이 자산버블을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FRB는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써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준비를 해 가고 있는 것이고 시장참여자들이 혼란하지 않도록 미리 사인을 주고 있는 것입니다

스마트머니들은 미FRB의 통화정책 변화를 감지하고 포트폴리오 교체에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자산버블의 꼭데기에 차익실현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수익은 이런 시장의 변화에 맞춰 카멜레온처럼 잘 변신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지 고집스래 투자방법론을 고집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우리증시와 미국증시가 완전 똑같이 동조화되어 움직인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코로나19 위기시에 코로나19방역에 성공해 국가브랜드 인지도가 올라가 지금껏 일본이 누리고 있던 국제시장에서의 위상을 넘보고 있어 "Made in Korea" 상품의 국가경쟁력이 올라가 수출호조가 내수마져 진작할 수 있는 호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우리 증시는 수출호조에 따른 골디락스를 달릴 가능성이 큰데 재벌오너일가의 세대교체도 마무리 되었기 때문에 주가가 낮을 이유가 당분간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