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포스코케미칼은 중국에 2810억원을 투자해 첫 번째 해외 배터리 소재 생산시설을 구축하는데 현지에서 배터리 소재를 직접 생산, 판매해 고객사 기반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25일 이사회를 열고 포스코와 화유코발트의 중국 합작법인에 총 2810억원을 투자해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라인을 증설하기로 결정했는데 전구체는 양극재의 중간재로,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배합해 만듭니다.
올 하반기 착공해 2023년부터 전기차용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인데 포스코와 화유코발트가 2018년 3월 중국 저장성 퉁샹시에 설립한 양극재 합작법인 '절강포화(浙江浦華)'와 전구체 합작법인 '절강화포(浙江華浦)'는 각각 연 5000t 규모의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의 이번 투자로 생산능력은 각각 3만5000t으로 늘어나는데 양극재 3만5000t은 60kWh급 전기차 배터리 약 39만대에 사용될 수 있는 양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대형 배터리사가 밀집한 중국 시장에 진입해 양극재를 직접 생산 및 판매하게 돼 배터리 소재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고객사 기반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합작법인에서 생산한 양극재는 중국 현지 배터리 기업과 중국에 진출한 한국 배터리 기업 등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특히 양극재의 원료인 전구체 생산공장 증설에도 투자하는 만큼 원료 수급 안정성과 내재화율을 높일 수 있게 됐고 아울러 화유코발트와의 파트너십도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 화유코발트는 연간 약 4만t의 코발트를 생상하는 글로벌 코발트 1위 기업으로 다수의 배터리 소재 원료 광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인 SNE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배터리사들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43%를 점유했는데 포스코케미칼은 작년 한해 배터리 소재 매출의 48%를 중국에서 거둘 만큼 핵심 시장이기도 합니다.
포스코케미칼은 중국 진출에 이어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도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2025년까지 국내 16만t, 해외 11만t의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하고 시장 리더십을 확고히 할 방침입니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투자 속도를 더욱 높일 것”이라며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동시 사업의 시너지와 포스코그룹 차원의 원료 확보 등 차별화된 사업 역량을 갖춘 소재사로서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중국 전기차배터리 시장은 점점 더 중요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어 포스코케미칼의 직접 진출은 일찍부터 예견된 사안이었습니다
우리 전기차배터리 기업들도 중국에 현지 생산공장을 갖고 있고 중국 전기차배터리 회사들의 성장도 가속화되고 있어 현지에서 직접 대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머티리얼즈 물적 분할 후 SK(주)와 합병 불확실성 회피 매물로 약세 (0) | 2021.08.26 |
---|---|
모트렉스 반기 보고서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 공개 (0) | 2021.08.26 |
하나마이크론 1,500억원 상당 비메모리 제품 TEST 생산 라인 시설 투자 발표 (0) | 2021.08.25 |
한국비엔씨 오스트리아 Sanova Pharma GesmbH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안트로퀴노놀 유통계약 체결 강세 (0) | 2021.08.25 |
세경하이테크 삼성전자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 사전예약판매 흥행 수혜 기대감 (0) | 202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