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진에어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진에어는 지난해 영업손실이 1천847억원으로 전년(488억원) 대비 278% 증가했다고 4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액은 2천718억원으로 2019년 9천102억원에서 70.1% 감소했고 당기순손실도 567억원에서 1천904억원으로 적자가 확대됐습니다.
진에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사업량 급감으로 인해 실적이 부진했다"고 설명했고 이어 국내선 노선 확대와 화물 사업 강화,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실적 방어에 집중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진에어는 지난해 대구, 울산, 포항, 군산, 원주, 여수 공항 등에서 신규 취항했고 B777-200ER 여객기를 화물 전용기로 개조하고, 카고 시트백 도입 등 화물 사업도 강화하고, 순환 휴직과 임원진 급여 반납 등으로 비용도 절감했습니다.
진에어는 "코로나19 백신 도입과 접종 진행에 따라 올해 하반기 이후 여행 수요가 회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시장 상황에 따른 능동적인 노선 및 기재 운영과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큰형'인 대한항공이 코로나19 위기에도 화물 사업을 통해 흑자를 기록했지만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는 코로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과 비교해 애초 화물 운송 비중이 작았고 화물기 수가 적은 LCC 특성에 따라 여객 수요 감소에 따른 타격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진에어의 대규모 적자는 수익성이 낮은 국내선 확대에 따라 비용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고객을 놓치지 않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비행기를 띄울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저비용항공사들이 비행사들의 비행시간과 항공기 렌트비를 감당하기 위해 적자가 나는 국내선 비행을 늘려오며 출혈경쟁을 하고 있는데 수익이 나는 해외여객수요가 살아났을 때를 대비해 고객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비행기를 띄우고 있는 것입니다
국적기들처럼 해외 항공물류라도 많으면 수익성을 회복할 수 있겠지만 당장 여객기들을 화물기로 개조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수익악화는 지속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스톱 전장대비 42% 이상 폭락 53.50 달러 기록 공매도 헤지펀드 기사회생 (0) | 2021.02.05 |
---|---|
증권사 실적발표 유동성 장세 속 역대 최대 기록 속출 (0) | 2021.02.05 |
대한항공 실적발표 코로나19 사태 속 영업흑자 달성 (0) | 2021.02.05 |
스튜디오드래곤 2020 역대 최고 실적 발표 (0) | 2021.02.05 |
네이버 빅히트 공동자회사 비엔엑스 글로벌 3대 음반 제작사 유니버셜뮤직그룹과 합작법인(JV) 설립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