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그룹 파산설이 가상화폐 시장에도 큰 충격을 주고 있는데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화폐의 가격을 7% 가량 폭락시키고 있습니다.
21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오전 11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과 비교해 7% 하락한 4만2859달러에 매매되고 있고 오전 9시 30분에는 4만달러를 찍으며 한때 12%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이더리움은 6.3% 내린 3025달러에, 도지코인은 5.8% 하락한 21.1센트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앞서 비트코인은 19일 4만8700달러까지 상승한 후 4만7000달러 대를 유지했지만 지난 24시간 동안 낙폭을 키우며 7% 가량 떨어졌는데 이 같은 가상화폐 가격 하락은 중국 헝다그룹 파산설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주식시장이 충격을 받으면서 동반 폭락세를 나타내는 모습입니다.
중국 2위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 파산이 현실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 손실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날 위험이 커지고 있는데 있는데 아직 중국 당국은 헝다그룹 파산에 대해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전 세계 자본 시장에 불안감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리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헝다그룹 위기는) 금융 시장에 더 확대된 변동성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경고했고 록펠러 글로벌 패밀리 오피스의 지미 창 CIO는 "중국의 경제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헝다그룹발 중국 경제 위기가 현실화된다면 이는 전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실제로 이날 전 세계 증시는 헝다그룹발 충격에 흔들린 모습인데 2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2.19%(330.06포인트) 급락한 14713.90에 마감했는데 이는 지난 5월 이후 4개월 만에 최대 폭락세 입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3.3% 급락했고, 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가 2.11% 떨어져 중국 헝다그룹 파산 위기가 전 세계 증시를 동반급락시키고 있습니다.
미국의 유명 투자자문가 짐 크레이머는 CNBC 방송에서 헝다그룹 위기로 가상화폐 시장이 약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이미 수익을 낸 투자자들은 지금 즉시 매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는데 그는 이어 "가상화폐가 주류로 편입될 잠재력은 있다"면서도 "지금으로서는 헝다그룹발 위기가 전염되면서 가상화폐 투자자들의 손실도 불가피하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표적 스테이블코인(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정화폐와 연동한 코인)인 테더를 발행하는 테더사가 헝다그룹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헝다그룹이 파산할 경우 테더사도 헝다그룹발 위험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테더를 이용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를 구매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걸쳐 테더발 위기가 전염될 수도 있다는 해석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크레이머는 "테더가 폭락한다면 가상화폐 시장 전체가 폭락할 것"이라며 "어떤 형태로든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지금 매도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위기는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와 같이 신용위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 지금 금융사간 어느 금융사가 헝다그룹에 물렸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신용도가 좋은 금융사간만 거래할 뿐 신용도가 떨어지는 금융사는 자금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중국정부는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데 헝다그룹의 파산을 그냥 지켜만 볼 것인지 시장참여자들은 답답한 맘으로 지켜보고 있습니다
자본시장에 발생한 신용위기는 헝다그룹에 물린 금융사들이 어디어디인지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는데서 금융사들이 서로를 불신하고 있으면서 발생하고 있는데 부실에 대비해 자금회수에 주력하면서 우량한 회사도 일시적으로 자금경색에 빠져들게 생겼습니다
중국정부는 이런 대규모 부실을 경험해 본 적도 해결해 본적 없어 그저 구경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지난 번 미국 정부가 리먼브라더스 파산에 발빠르게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했던 것과 같이 중국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원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설이 글로벌 자본시장에 악재가 되고 있고 이 영향이 코인시장마져 얼어붙게 하고 있습니다
최근 단기랠리를 펼치며 가격 회복세를 보이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자산들은 동반급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신용위기를 벗어나기 전에는 이런 롤러코스트 같은 가격 급등락이 반복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 다음달 베트남에 100만회 분 이상 코로나19 백신 지원 약속 (0) | 2021.09.22 |
---|---|
중국 화물우주선 톈저우 3호 우주정거장 톈허와 도킹 성공 (0) | 2021.09.21 |
Oh My God 문재인 대통령과 BTS 콜라보 유엔 '제2차 SDG Moment'를 들었다 놨다 (0) | 2021.09.21 |
우리나라 UN 산하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선정 글로벌 혁신지수 역대 최고 5위 랭크 (2) | 2021.09.20 |
북한TV 열차 미사일 발사 장면 공개 이런게 북한식 첨단무기인가? (0) | 202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