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부가 6월까지 가상화폐(가상자산)를 이용한 자금세탁, 사기 등 불법 행위를 범부처 차원에서 집중 단속합니다.
가상화폐 시장이 이상 과열을 보이며 국내 시세가 해외보다 높게 형성되는 ‘김치 프리미엄’이 나타나는 등 불법 투기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인데 은행들도 국내 가상화폐 차익의 해외 송금에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19일 국무조정실 등 관계부처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상자산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이달부터 6월까지를 ‘범정부 차원의 특별단속기간’으로 정했다고 밝혔는데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가상자산 거래는 투자라기보다는 투기성이 매우 높은 거래”라고 말했습니다.
우선 금융위원회는 투자자들이 가상화폐를 현금화할 때 금융사들에 1차 모니터링을 요청할 계획인데 불법 의심거래는 금융위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을 통해 수사기관과 세무 당국에 통보하기로 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금융감독원과 함께 5만 달러 이상의 해외 송금을 제한하는 외국환거래법 등 관계법령 위반 여부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는데 ‘김치 프리미엄’을 활용해 국내에서 가상화폐를 팔아 얻은 차액을 외국으로 보내는 송금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경찰은 가상화폐 계정이나 가상화폐 사업자를 해킹해 가상화폐를 탈취하는 행위나 이를 이용한 다단계 금융범죄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는데 공정거래위원회는 가상화폐 사업자의 이용약관을 조사하고 투자자에게 불리한 불공정 약관이 있다면 바로잡을 계획이고 또 방송통신위원회는 온라인에서 가상화폐의 투자 사기나 미신고 영업 행위와 관련한 광고를 차단합니다.
정부가 가상화폐 투기 단속에 나서는 건 최근 시장이 과열되고 있기 때문인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산출하는 ‘알트코인지수(UBAI)’는 19일 오후 3시 50분 현재 8197.04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말(1707.52)의 4.8배 수준으로 올 들어 알트코인의 시가총액이 4.8배로 커졌다는 뜻인데 비트코인이 올 들어 최고가 경신을 이어가자 변동성이 더 큰 알트코인으로 투기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치 프리미엄을 노리고 가상화폐를 팔아 생긴 현금을 해외로 송금하는 의심 사례가 급증하자 은행권도 송금 한도 제한에 나섰습니다.
우리은행은 19일부터 중국에 비대면으로 송금하는 서비스인 ‘은련퀵송금 다이렉트 해외송금’에 월 1만 달러 한도를 신설했는데 기존에는 연간 5만 달러 이내, 일간 5000달러 이내의 한도가 있었는데 이날부터 월간 1만 달러 이내의 한도가 추가된 것입니다.
가상화폐 차익 거래로 추정되는 중국으로의 송금액이 최근 급증한 데다 정부가 감시 강화를 요청하자 이 같은 한도를 도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은행 창구에서 송금하면 증빙 서류 등을 받아 의심스러운 거래를 걸러낼 수 있지만 비대면 송금은 의심 거래를 걸러내는 데 한계가 있어 이 같은 한도를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에서는 ‘재무부가 가상화폐 관련 범죄 조사에 나섰다’는 소문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지자 17일(현지 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1시간 만에 개당 5만9000달러(약 6600만 원)에서 5만1000달러(약 5706만 원)로 14% 가까이 폭락했습니다.
‘@Fxhedgers’라는 아이디 사용자가 18일 오전 트위터에 ‘미 재무부가 돈세탁을 위해 가상화폐를 이용한 몇몇 금융기관을 고발할 것’이라고 썼는데, 이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온라인상에 퍼지면서 가상화폐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미 재무부는 해당 사태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는데 CNBC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들은 여전히 거품”이라며 최근의 급등락을 우려했습니다.
솔직히 가상화폐는 투기수단으로 전락한지 오래이지 비트코인을 제외하고 실물경제에서 통화역할을 할 수 있는 코인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20대 젊은이들이 젊어서 한탕해 나머지 인생을 편하게 살자는 심리로 코인투기에 뛰어들고 있는데 젊어서 코인투기로 인생을 허송세월한 이들이 나중에 사회문제화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비트코인을 포함한 코인시장의 활성화는 지하금융의 자금세탁처로 활용된 점이 의심을 받고 있는데 정부 간섭을 안 받고 국경을 넘나드는 자본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조성된 대규모 자금은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정부의 통제 밖에 있다는 점에서 금융시장의 혼란을 조장하는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미 재무부가 조사에 나선다는 소문이 도는 것은 실제 통화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달러의 위상을 넘볼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단속하려는 움직임이고 우리나라가 가상화폐 시장을 조사하는 것은 블랙마켓의 자금세탁처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비자금을 현금화할 수 있는 통로가 가상화폐거래소가 되고 있는데 투기적인 포지션을 취하는 젊은이들의 한탕주의가 이들에게 좋은 현금화 장소를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나무 주주사 DSC인베스트먼트 추가 투자 소식에 동반 강세 (0) | 2021.04.20 |
---|---|
폴라리스그룹 아이에이 매각하고 우노앤컴퍼니 인수 M&A 몸집불리기 그런데 뭔가 불안하다 (0) | 2021.04.20 |
인공지능(AI) 기반의 채용 플랫폼 기업 원티드랩 성장성 추천 특례 기업공개(IPO) 절차 돌입 (0) | 2021.04.19 |
현대차그룹 중국 상하이 모터쇼 'K-전기차 시대' 개막 선언 (0) | 2021.04.19 |
박범계 법무부 장관 대정부질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가석방 혹은 사면 검토한 적 없다"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