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넨셀이 8일 개발 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치료에도 효과적이라고 보고 관련물질 'ES16001'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특허의 정식 명칭은 '담팔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SARS-CoV-2 omicron variant virus)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국책과제를 통해 대상포진 치료제로 개발된 ‘ES16001’은 여러 유효성분 중 하나인 ‘제라닌(Geraniin)’이 바이러스의 감염과 복제를 저해하고 숙주세포 침입 및 재활성화를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 코로나19에서도 원인 바이러스인 ‘SARS-CoV2’의 RBD(바이러스-숙주세포 수용체 결합 영역) 결합 활성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넨셀은 최대주주인 세종메디칼 연구진, 바이오벤처 엠바이옴쎄라퓨틱스와 공동으로 실시한 'ES16001'의 오미크론 변이 대응에 관한 추가 연구에서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특허 출원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분자 결합 분석법과 딥 러닝 기반의 결합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해 오미크론 바이러스 단백질과 ES16001 주요 성분 간의 바인딩 예측 실험을 실시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고 특히 이번 실험을 통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정용준 제넨셀 공동대표는 "현재 개발 중인 치료제가 다양한 변이에 대해서도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향후 오미크론 변이가 코로나19의 우세종이 되더라도 당초 계획대로 임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고 또한 제넨셀은 이번 공동 연구를 시작으로 세종메디칼 연구개발 부문과 협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ES16001은 국내 자생 식물 담팔수 잎에서 추출한 신소재 기반의 신약후보물질이며, 현재 글로벌 임상시험의 일환으로 국내 제2·3상 임상을 진행 중이고 그 외 임상 국가인 유럽, 인도 등도 조만간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기존에 나와있는 미국 머크사와 화이자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고 알려져 있고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어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제약사들의 경구용 코로나19치료제의 효과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세종메디칼은 총 113억원을 제넨셀에 투자하여 지분 23%를 확보했고 제넨셀이 발행한 전환사채(CB)를 인수하고 최대주주였던 강세찬 경희대 생명과학대 교수 보유 지분도 일부 인수하여 최대주주로 올라섰습니다
타임인베스트먼트는 지난 7월 23일 세종메디칼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125억원을 투자해 지분 16.67%를 확보하고 경영권을 확보한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바이오로직스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1 수여식 개최 (0) | 2021.12.08 |
---|---|
메디아나 KOHEA(한국디지털병원 수출사업조합) 사업인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 사업 본격 진출 (0) | 2021.12.08 |
음압병동 관련주 코로나19신규확진자수 7천명 급증 병상 부족 수혜 기대감 동반 급등세 (0) | 2021.12.08 |
자이글 산소발생기 등 의료생산기기 GMP 획득 주가 급등세 (0) | 2021.12.08 |
이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IPO 본격화 기대감에 동반 강세 (0) | 202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