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부채 한도를 둘러싼 정치적 불확실성과 유가 상승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등에 하락했습니다.
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3.54포인트(0.94%) 하락한 34,002.92로 거래를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6.58포인트(1.30%) 떨어진 4,300.4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11.21포인트(2.14%) 밀린 14,255.49로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개장 초부터 기술주들이 크게 밀리면서 시장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최근 고점 대비 4% 이상 하락했고, S&P500지수는 5%가량 떨어졌는데 나스닥 지수는 최근 고점 대비 7.45% 하락했는데 지수가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면 기술적 조정에 진입했음을 시사합니다.
유가가 7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고, 10년물 국채금리가 장 초반 1.50%로 다시 돌아가면서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장 마감 무렵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2bp 오른 1.48% 근방에서 거래됐습니다.
유가는 이날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으로 2014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는데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겼습니다.
WTI 가격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오는 11월에도 기존 증산 속도를 유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2% 이상 오르며 배럴당 77.62달러에 마감했고 브렌트유 가격도 배럴당 82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미 의회의 부채한도 협상도 이렇다 할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면서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민주당은 연방정부의 부채한도를 상향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공화당 반대에 직면한 상태로 미 재무부가 부채한도 상향이나 유예 시한을 10월 18일로 못 박고 있어 시한까지 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들의 우려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공화당이 부채한도 협상에서 협조하지 않고 있다며 "무모하고 위험한 행동"이라고 맹비난했습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상원 민주당은 (부채한도를 상향하기 위해) 어떤 형태로든 공화당의 협조가 필요하지 않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번 주 후반 발표되는 9월 미국 고용보고서도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이슈로 팩트셋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9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47만5천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8월의 23만5천 명보다 늘어난 것이지만, 여전히 8월 이전까지 보이던 월 80만 명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파산설에 휩싸였던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그룹의 주식은 아시아 홍콩 시장에서 이날 거래 정지됐습니다.
헝다 그룹은 계열사 지분매각으로 400억 홍콩달러(약 5조9천억 원)가량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시장 참가자들은 헝다 사태가 위험 회피 심리를 확산시킬지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주가는 최근 일련의 내부 고발에 나선 내부고발자 신원이 공개되고, 이날 장중 서버가 다운됐다는 소식 등에 5%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2.5%가량 하락하며 최근 고점 대비 11%가량 떨어져 기술적 조정에 진입했는데 애플이 마지막으로 기술적 조정에 진입했을 때는 올해 3월이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3분기 차량 인도 대수가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소식에 장중 3% 이상 올랐으나 오후 들어 오름폭을 1% 미만으로 낮췄습니다.
머크 주가는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에 대한 긍정적 소식이 이날까지 영향을 미치며 2% 이상 올랐습니다.
업종별로 기술주가 2% 이상 하락하며 낙폭을 주도했고, 통신, 헬스, 임의소비재, 금융 관련주 등이 모두 약세를 보였습니다.
유가 급등에 에너지 업종이 1.6% 올랐고, 유틸리티와 부동산 관련주도 상승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하반기 시장의 위험 요소들을 인식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는데 앨리 인베스트의 린지 벨 수석 투자 전략가는 마켓워치에 "이날 시장은 기술주가 주도하고 있다"라며 "그러나 투자자들은 부채 한도, 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시즌, 덜 완화적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등과 같은 걱정거리를 깨닫기 시작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43.3%로 반영했는데 해당 기간까지 1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35.4%, 2회 금리 인상 가능성은 7.3%로 나타났는데 모두 전날보다 소폭 오른 수치입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81포인트(8.56%) 오른 22.96을 기록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에 어느 금융사가 얼마나 물렸는지 모르는 신용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인플레이션 우려감으로 계속 금리인상 압력이 올라가고 있어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기술주들의 하락은 유동성 장세가 끝나가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데 아마존닷컴은 2.85% 하락했고 애플과 엔비디아는 각각 2.46%, 4.87% 하락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디바이오센서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멍청한 짓이다 (0) | 2021.10.05 |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에서 약 5시간 동안 전 세계적인 접속 장애 발생 (0) | 2021.10.05 |
삼성전자 3분기 실적예고 '분기 매출 70조원 시대' 주가는 칠만전자 (0) | 2021.10.04 |
현대차 노노갈등에 인기차량 증산 실패 주가는 자유낙하 준비 중 (0) | 2021.10.04 |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 주식 4일 홍콩 증시에서 거래 정지 지급보증채 부도 초읽기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