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2T68sixV5M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은행들의 실적 개선 기대와 미국의 대중 관세 완화 가능성에 상승했습니다.



2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8.34포인트(1.98%) 오른 31,880.24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2.39포인트(1.86%) 상승한 3,973.7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0.66포인트(1.59%) 뛴 11,535.27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3대 지수는 지난주까지 크게 하락했는데 S&P500지수는 지난 금요일 장중 52주래 최고치 대비 20% 이상 하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한 바 있습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주까지 7주 연속 하락해 2001년 이후 최장기간 하락세를 보였고 다우지수는 8주 연속 하락해 1923년 이후 최장기간 하락했습니다.



그동안 3대 지수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 긴축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기업들의 비용 증가, 소비 위축 등에 대한 우려로 하락세를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이날은 은행주들이 JP모건의 긍정적인 실적 전망에 크게 오르면서 투자 심리를 개선했는데 JP모건은 이날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올해 순이자이익(NII)이 5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고 이는 1월에 예상한 500억 달러에서 크게 높아진 수치라 어닝서프라이즈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선주를 제외한 자기자본에 대한 이익을 보여주는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CE) 목표치 17%를 올해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지난 실적 발표 당시 내년이나 내후년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데서 크게 당겨진 것입니다.



JP모건의 주가는 이날 6% 이상 올랐고, 은행주들도 동반 상승했는데 골드만삭스 주가도 3% 이상 올랐고,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주가도 6% 가까이 올랐으며 KBW 은행주 지수는 4% 이상 올랐습니다.



제러미 바눔 JP모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큰 그림으로 보면, 단기적인 신용 전망은, 특히 미국 소비자 부문에서 여전히 강하다"라고 말했는데 경기 침체 우려에 위축됐던 시장은 소비와 신용이 여전히 강하고, 미국 경제가 탄탄하다는 JP모건의 긍정적인 전망에 살아난 느낌입니다.



미국이 대중 관세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앞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일부 상품의 대중 관세를 낮추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중 관세 인하와 관련해 "그것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는 그러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 이것들은 이전 정부가 부과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는데 인플레이션 압렵을 낮추기 위해 중국산 값싼 상품들이 다시 필요해졌다는 의미로 도널드트럼프 정부의 동양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만든 대중국관세를 드디어 걷어낼 수 있어 미국인들이 다시 값싼 중국산 상품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전달보다는 개선됐으나 예상치에는 못 미쳤는데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4월 전미활동지수(NAI)는 전달보다 개선된 0.47로 집계됐고 전달에는 해당 수치가 0.36을 기록한 바 있는데 수치가 0을 웃돌면서 역사적인 성장 추세 이상의 확장세를 보인다는 의미지만,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0.50은 밑돌았습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올랐고, 금융주가 3% 이상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고 에너지와 기술주도 2% 이상 올랐습니다.



미국 통신용 반도체업체 브로드컴이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인 VM웨어의 인수를 타진하고 있다는 소식에 VM웨어의 주가가 24% 이상 올랐고 브로드컴의 주가는 3% 이상 하락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회사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와 동남아시아 위탁 생산 물량을 늘리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4% 이상 올랐는데 중국만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측면에서 쉽게 옮기기는 어려워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은 각각 3%, 2% 이상 상승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5포인트(3.23%) 하락한 28.48을 기록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가가 단기 반등하더라도 투자 심리가 완전히 돌아선 것은 아니라고 말했는데 중국산 저가상품에 대해 이전 정권인 도널드트럼프가 부과하고 있는 높은 관세를 없애버려 다시금 밈국인들이 값싼 중국산 상품에 접근할 수 있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출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된 것으로 트럼프의 망령을 걷어내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중국에 대한 혐오와 차별로 표를 얻으려는 국민의힘의 저급한 정치선동에 우리가 매년 600억달러의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시장을 놓치게 될 위기에 빠지고 있습니다

 

멍청한 국민들이 선택한 결과이지만 그 피해를 기업을 하고 있는 중소상공인들이 뒤집어 쓰게 되는 것이라 한심하기 그지 없어보입니다

 

우리 내수시장이 작아 우리가 생산한 상품을 다 소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2의 내수시장 역할을 해 주고 있는 중국시장을 포기하고 그 남아도는 잉여생산품을 어디에서 소비시킬 수 있는지 중국혐오를 부추기는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에 물어보고 싶습니다

 

중국사드보복을 당한 박근혜정부시절의 교훈을 벌써 잊었는지 한심할 따름인데 그때도 중국사드보복은 없다고 실제 피해를 본 중소상공인들에 대한 피해보상은 외면하고 재벌대기업인 롯데그룹의 피해만 보상해 준 것이 국민의힘 정부였습니다

 

멍청하면 당한다고 그새 그때의 교훈을 잊어 버리고 그저 혐오와 차별로 일시적인 우월감에 도취되어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도 모르는 바보들을 어찌할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우리시장을 포기하면 그 빈자리는 일본과 중국기업들이 차지한다는 사실을 중국사드보복 당시 경험하고도 여전히 중국혐오에 우리 밥그릇을 내팽게치는 멍청이들은 미국 조바이든 정부가 대중국관세를 낮추는 정책으로부터 진정한 국익이 어디에 있는지 교훈을 얻어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