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소전기차용 공기압축기 제조사 뉴로스 주가가 22일 장 초반 하한가로 직행했는데 기관투자자와 기타법인의 매도세에 개인투자자들은 영문도 알지 못한 채 투자금 30%를 날렸습니다.
시장에선 이날 매물 출하 요인을 중국 국영기업의 투자자금 납입지연 가능성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뉴로스는 중국 HSD 상해호성드신에너지기술유한공사(이하 HSD)와 그 한국법인을 대상으로 177억원대 유상증자를 진행 중인데 납입기일은 오는 26일입니다.
23일 뉴로스 관계자는 "26일에 들어오기로 한 유상증자 대금이 지금 중국에서 ODI(해외직접투자)를 진행하는 상황"이라며 "만약 중국 정부에서 추가적인 자료 요청을 할 경우 ODI가 지연될 수는 있지만 계약상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 하한가를 맞은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기업이 해외에 직접 투자하기 위해서는 중국 상무부를 비롯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지방정부 등의 승인을 받는 ODI 절차가 필요합니다.
최근 중국 당국은 코로나19로 재정이 악화되자 외국으로 자금이 유출되는 해외직접투자 심사에 현미경을 들이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 공시한 납입기일을 지키기 위해 24일까지는 중국 내 ODI 승인이 필요한데 이 관계자는 "24일까지 ODI 승인이 나지 않는다면 일정상 어쩔 수 없이 지연되는 상황인데, 지금 금전적인 부분이나 전체적인 준비 과정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보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뉴로스는 지난달 HSD를 대상으로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는데 HSD는 중국 국유기업인 중국공업경제인연합회의 지주회사이자 국자회사인 롱자오(Rongzhao) 수소에너지 과학기술 유한회사의 자금운용사입니다.
유상증자 목적은 채무 상환 및 기타 자금 조달 목적인데 뉴로스는 중국 국영기업의 자금을 수혈 받아 설비 투자 재원을 마련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 예정입니다.
뉴로스는 HSD와 2000억 원 규모 합작법인(JV) 설립도 논의하고 있는데 중국 내 합작법인을 설립해 수소차 에너지 사업을 위한 글로벌 생산기지로 키울 계획입니다.
한편 전날 뉴로스 주가가 급락하자 한국거래소는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했고 공시 시한은 23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일반적으로 중국 자본이 유상증자를 하고 최대주주가 될 경우 경영권을 넘기게 되는 것인데 뉴로스의 경우 경영권은 기존 한국인 경영진들이 그대로 갖게 되는 구조라 특이한 케이스라고 예전에 글을 쓴 기억이 납니다
결국 이런 사단이 발생한 것이 그때부터 잉태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바다 뜬금없는 상한가 경영권 분쟁 재발 or 머니게임 (0) | 2021.02.23 |
---|---|
롯데케미칼 미국한파 피해 반사이익 기대감에 매수세 유입 (0) | 2021.02.23 |
현대차 코나의 고성능 모델 '코나 N라인' 미국 시장 진출 예고 만용인가? (0) | 2021.02.23 |
미국증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 국채금리 상승과 기술주 주가버블 빠진다 (0) | 2021.02.23 |
비트코인 가격 22일(현지시간) 미국 거래소에서 폭락세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