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조선대팀이 만든 큐브위성이 지난 29일 오후 4시50분경 성능검증위성에서 성공적으로 분리했는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0일 새벽 3시 48분경 지상국과 상태정보가 수신됐다고 발표했습니다.

 

 
큐브위성은 지난 21일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우주궤도에 올린 성능검증위성이 품고 있었는데 성능검증위성은 일주일간 지구궤도를 돌면서 자세를 교정한 뒤 29일부터 이틀간 총 4차례 큐브위성을 지구궤도에 내보내게 됩니다.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큐브위성이 보낸 상태정보에는 위성의 모드, 자세, GPS 상태(현재 off), 배터리 모드(정상), 배터리 전압(정상) 정보가 포함돼 있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큐브위성의 사출영상으로 볼 때 이렇게 상태정보가 일부횟수만 수신된 이유는 위성의 자세가 현재 빠르게 회전(텀블링)되고 있을 것으로 보이며, 완전한 양방향 교신을 위해서는 자세 안정화에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음 교신 예정시간인 30일 오후 3시 48분경, 5시 26분경으로 예정돼 있으며 상태정보 수신과 교신 명령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사된 큐브위성은 지난 2019년 개최한 제5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조선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 연세대 등 4개의 대학팀이 직접 제작·개발한 결과물입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해외 발사체를 이용한 과거 4차례의 큐브위성 발사에서도 양방향 교신에까지 성공한 사례는 없어 쉽지만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큐브위성의 경우 예산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업용 위성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고, 정확한 실패 원인을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아 대부분 전력, 충격 등으로 인한 오작동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현재 위성의 배터리 모드와 전압이 정상 상태로 보여 자세 안정화만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성능검증위성이 자세 안정화 과정을 거치고, 남아있는 3기의 큐브위성도 예정대로 사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구 궤도에 올린 인공위성에서 큐브위성을 분리하는 일도 공식적으로 성공한 사례가 흔치 않은데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 인공위성에 지상을 겨냥한 탄도미사일을 탑재해 올려 지상을 향해 24시간 언제든지 공격할 수 있는 스타워즈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민간 기술에 머물지만 위성탑재체를 분리하는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보여 언제든지 군사용 무기로 전용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우리가 언제든지 우주를 전략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측면에서 이제 우리나라에 대한 자주국방에 한발 더 다가간 느낌입니다

 

윤석열정부 내 뉴라이트들은 일본의 군사위성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지소미아를 부활해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에게 일본자위대가 원하는 정보가 우리군의 배치도와 전시작전권과 같은 민감한 사안이라는 측면에서 일본과의 지소미아 부활은 실익이 없이 우리 군기밀만 넘겨주는 행위인 것 같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윤석열 정부의 김태호 안보1차관이 과거 군기밀을 누출한 혐의로 처벌받은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있어 보입니다

성능점검위성과 큐브위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