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올해 말로 예상됐던 구글의 폴더블(접는) 스마트폰 출시가 무산됐다는 전망이 나왔는데 현재 폴더블폰 무대에서 ‘독주’ 중인 삼성전자 폴더블폰의 경쟁력을 따라잡기 힘들다는 판단한 때문입니다.
16일 디스플레이 전문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컨설턴트(DSCC)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폴더블폰 ‘픽셀 폴드’ 출시를 포기했는데 DSCC는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구글은 제품이 필요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했다”며 “아마도 미국과 유럽의 틈새 시장에서 경쟁자인 삼성보다 더 높은 비용을 치러야 하는 것이 불리하다는 것을 알아차린 것 같다”고 전했고 연내는 물론 내년 상반기에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구글은 약 2년 동안 폴더블폰을 개발해왔는데 올해 4분기 출시돼 미국, 유럽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경쟁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구글은 지난 달 폴더블폰, 태블릿PC 등 대화면 기기 전용 운영체제(OS) ‘안드로이드12L’ 프리뷰 버전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픽셀 폴드’는 7.6인치 대화면 내부 디스플레이에 커버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형태로 내부에는 120㎐ 고주사율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구글이 자체 개발한 ‘텐서’ 칩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의 갤럭시Z폴드 시리즈와 유사하지만 제품 하드웨어 스펙 측면에서 ‘갤럭시Z폴드3’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갤럭시Z폴드3’는 폴더블폰 최초로 ▷스타일러스펜(S펜) 입력 지원 ▷방수 기능 탑재 ▷언더패널카메라(UPC) 장착 등 기능을 갖췄고 가격 또한 199만 8700원(256GB)으로 저렴해졌고 전작인 ‘갤럭시 폴드 5G’와 ‘갤럭시Z폴드2’ 대비 40만원 가량 인하되면서 폴더블폰 대중화에 불을 지른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아직 폴더블폰이 ‘틈새 시장’이라는 점도 출시 무산 이유로 꼽히는데 업계가 예상하는 올해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은 1000만대 수준으로 전체 스마트폰 시장(12억대)의 1%에 불과한데 일반 바(Bar)형 스마트폰에서도 고전 중인 구글 입장에서, 폴더블폰 시장 진입으로 얻는 이득이 미미한데 구글은 지난해 상반기 ‘텃밭’ 북미 시장에서도 3%대 점유율을 차지하는데 그친 상황입니다.
애초에 구글의 안드로이드 OS 글로벌 1위 삼성전자의 벽을 구글이라는 플랫폼 회사가 제조업까지 사업을 확장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이 애플처럼 OS와 제품까지 모두 갖고 싶어하지만 구글이 애플이 될 수 없듯이 삼성전자도 될 수 없는 것을 깨달은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게임즈 지스타 2021 신작과 기존 인기작 총 7종 공개 (0) | 2021.11.17 |
---|---|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 권오수 회장 구속 주식시장에 공정성이 있기나 할까? (0) | 2021.11.17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미국 보잉(Boeing)과 B787 드림라이너 항공기 구조물 공급 계약 (0) | 2021.11.16 |
큐브엔터 글로벌 블록체인 최대 플랫폼 업체인 애니모카 브랜즈와 합작법인 대체 불가능 토큰(NFT) 발행 추진 (0) | 2021.11.16 |
엔에프씨 3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 의료용 대마 연구 허용 수혜 기대감 (0) | 2021.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