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수 성시경의 백신 의심 옹호 발언이 온라인 세상에 일파만파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예방의학과 교수가 "백신은 어쩔 수 없는 대안"이라는 의견을 밝히며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잠재우고 있습니다.
성시경은 지난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성시경'에서 "언제 백신을 맞냐"는 팬의 질문에 "9월 말로 예정돼 있다"면서도 "요즘 백신 얘기가 많다"면서 백신에 대한 소신 발언을 했습니다.
성시경은 "중요한 이슈라 함부로 이야기하면 안 되는데"라면서 "전 국민의 안전을 위해 많은 분들이 고생하고 있고, 그것을 위해 다 같이 한 가지 행동을 하자가 큰 주류 의견이다. 그런데 말 잘 듣는 국민이 되는 건 그렇게 바람직한 건 아닌 거 같다. 계속 궁금해하고, 질문하고, 왜냐, 밝혀내라고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전체 선을 위해 희생을 강요하면 안 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는데 전체를 위해 소수의 희생을 강요해선 안된다는 선한 의지로 자신의 소신을 밝힌 것입니다.
성시경은 또 "백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거며, 어떤 부작용과 효과가 있는지 그대로 믿지 않고 좀 더 의심하고 불안해하고 고민하는 게 절대 나쁜 건 아닌 거 같다"며 "요즘은 그것 또한 나쁜 거로 몰고 가려는 분위기도 있다. '닥치고 맞자', '말 좀 듣자'고 한다"고 지적했는데 이런 의심과 회의감 그리고 백신포비아는 접종률을 떨어뜨려 집단면역에 도달하지 못하고 결국 일상으로 복귀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고 실제로 이런 의도를 가지고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일삼는 보수언론도 존재하기 때문에 반대로 '닥치고 맞자'라는 말도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내가 맞지 말자고 이야기한 건 아니다"고 강조하면서 "그걸 궁금해하는 걸 두려워하면 안 된다는 거다. 궁금해하는 세력을 이해시켜서 확신을 주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는데 합리적인 의심으로 보다 완벽함을 기할 수 있는 동인을 제시하는 것은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이에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성시경의 말이) 틀리진 않았다"면서도 "백신은 어쩔 수 없는 대안"이라고 답했는데 정 교수는 예방의학과 전문가이자 정부의 코로나19 자문교수단으로도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정 교수는 "성시경 님이 개인방송에서 한 발언이 기사화되어 그 내용을 찬찬히 곱씹어 봤다"며 "관련 업계인으로서 반드시 드려야 하는 말씀이 몇 가지 있다"면서 글을 작성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정 교수는 "성시경 님의 말씀은 백신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고, 그분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드리는 게 중요하다는 취지"라며 "백신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일을 하는 제게 충분히 공감이 가고 반드시 마음에 새겨야 할 부분"이라고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의 방역 성과는 일부의 희생을 기반으로 하고, 2021년 백신 수급과 안전성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부족한 측면도 있다"며 "당연히 할 수 있는 이야기가 가져올 수 있는 파장이 조금 걱정스럽기도 하다"고 우려했고
또 "(백신 접종) 선택을 강요할 수 없다"면서도 "사회적 분위기와 전문가의 권고가 백신 접종을 권유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의견도 많다"고 전했습니다.
정 교수는 이어 "백신 접종이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은 된다고 생각한다"며 "백신 접종은 100% 안전하지 않지만 이상 반응의 발생 가능성은 극히 낮고, 백신 접종은 100% 코로나 19를 막아주지 못하지만 대부분의 사망을 막아준다. 전 세계의 수많은 과학자들이 백신 접종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고 그래도 어느 백신보다도 더 투명한 정보가 만들어지고 공개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더불어 "적어도 성인 인구에서 백신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코로나 19로 인한 피해보다 모든 연령대에서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조금만 더 도와달라"는 요청도 했는데 정 교수는 "성시경 님이 말씀하신 대로 접종이 불안하신 분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자세하고 투명하지만 알기 쉽게 전달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 반응이 생기더라도 이를 치명적인 피해로 이어지지 않게 제도를 정비하고, 억울한 피해는 원인을 규명해드리는 것이 저희 감염병과 백신을 다루는 전문가의 역할"이라며 "하지만 현장에서 환자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의료진만큼 저희 책상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너무나 거대한 위기와 과학의 한계와 싸우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놓았습니다.
성시경에 발언에 대해 "당연하고 반드시 고려해야할 이야기가 어떤 분들에게는 근거가 되고 다른 이들에게는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면서도 "그래도 이런 말씀을 해주셔서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면서 글을 마무리했습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의 답변은 지금같은 비정상적인 코로나19 위기에 백신을 제외하고 다시 일상으로 복귀를 가능케 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는 측면에서 성시경씨의 발언이 보수언론에 의해 백신포비아의 확산 도구로 활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백신과 같은 발언이라고 생각됩니다
성시경씨의 발언이 의도하지 않았어도 보수언론에서는 백신포비아를 확산시키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고 그의 의도를 벗어나 백신불안감을 확산되는 수단으로 인용되고 있는 것은 그의 개인방송 이후에 쏟아져나온 보수언론의 인용보도에도 잘 알 수 있습니다
보수언론은 성시경씨의 본뜻 보다는 그의 말 자체를 인용해 백신의 위험성에 대해 의심을 넘어 공포감을 갖고 백신접종을 기파하도록 유도하는 제목과 기사내용을 남발하고 있습니다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양산하는 것인데 목적은 백신접종률을 떨어뜨려 정부의 10월 집단면역 목표 수치인 전 국민 70% 이상 2차 접종까지 완료하는 것을 막자는 의도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결국 내년 대선에서 부정부패한 세력의 집권을 위해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남발하며 공동체 전체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그런 기레기들은 이미 백신을 접종했다는 사실에서 이율배반적이라는 생각도 들고 파렴치하다는 느낌마져 들고 있습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의 답변은 성시경씨 소신발언을 왜곡해 백신포비아를 부추기려는 보수언론의 획책을 사전에 막으려는 백신고 같은 발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당 25만원 국민지원금 창구 6일 오전 9시 오픈 (0) | 2021.09.06 |
---|---|
중국 공산당 중국 연예계 정풍운동 주도 사상 통제 일환 (0) | 2021.09.06 |
서울관광공사 홍보영상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Korea)’ 시즌2 이번엔 서산이다 (0) | 2021.09.04 |
중국 공권력의 무서움 지하철 경범죄 여성 지하철 보안요원에 강제하차 동영상 논란 (0) | 2021.09.04 |
허리케인 아이다 미국 인구 밀집지역 동북부 강타 뉴욕주 사망자 다수 발생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