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VtgXOhTzN8

안녕하세요

정부가 오는 2030년 이차전지 세계 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기 위해 국내에 50조원 이상의 민간투자를 유도하고 민관 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동맹)'를 만들어 핵심 소재 확보 등 현안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입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일 제3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는데 회의에는 산업부와 업계 및 유관 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은 오는 2030년 세계 시장 점유율 40% 이상 달성과 50조원 이상 국내 투자 실현을 목표로 ▲안정적 배터리 공급망 확보 ▲첨단기술 혁신 연구·개발(R&D) 중심지 조성 ▲국내 산업 생태계 구축 등 핵심과제를 담았습니다.



정부는 국내 자원개발, 배터리, 제련, 금융 기업이 모두 참가하는 코리아팀을 구성, 배터리 핵심광물 확보에 나설 방침인데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계기로 개별 기업 단위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민간합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했고 정부는 프로젝트 공동 발굴을 통해 5년 동안 3조원 규모의 금융을 공급하고 민간 주도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등을 통해 순환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오는 2030년까지 1조원 이상 정부 투자를 포함한 총 20조5000억원 규모의 R&D 투자를 통한 기술 초격차 확보에도 나설 예정으로 상용화 기술과 미래 차세대 전지, 친환경 기술개발 등 부문에서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로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800㎞ 달성 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차세대 기술인 차량용 전고체 전지도 오는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50조원 이상의 국내 투자를 유도하기도 하고 2025년 국내 생산능력을 배터리 1.5배, 양극재 3.2배, 음극재 2.1로 확대한다는 목표로 정부는 민간 분야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5년 동안 5조원 규모의 대출 및 보증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날 회의에선 정부와 관련기관, 기업이 지속 협력하기 위한 협의체인 배터리 얼라이언스도 출범했는데 배터리 얼라이언스는 ▲공급망 ▲배터리 규범 ▲산업경쟁력 등 3개 분과로 구성, 최초 2년 기본 운영에 1년씩 운영 기간을 갱신할 예정입니다.

 

금리인상 영향으로 경기침체로 빠져들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 2차전지는 윤석열 정부 정책지원에 그나마 실적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신흥에스이씨

아모그린텍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솔브레인

SKC

브이원텍

엠플러스

후성

천보

만도

코이즈

대주전자재료

두산퓨어셀

솔루스첨단소재

KG케미칼

삼화전기

삼화전자

삼화콘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성창오토텍

피앤이솔루션

피에스텍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엘앤에프

우수AMS

쎄미시스코

삼진엘앤디

신성델타테크

씨아이에스

에코프로

현대공업

TCC스틸

피엔티

뉴인텍

세원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파워로직스

대보마그네틱

아이티엠반도체

코윈테크

 

1101(2조간, 1일(화) 16시엠바고)전자전기과, 민·관 합동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발표(최종본).pdf
1.76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