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CSRpMlIMHs

안녕하세요

뉴욕 유가는 OPEC+의 석유감산 소식에 일제히 급등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OPEC+)의 감산 충격이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6.28% 오른 배럴당 80.42달러에 거래를 마쳤는데 이는 지난 6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루 상승폭은 지난해 4월 12일 이후 가장 큰 폭이었습니다.



유가는 주말에 발표된 OPEC 플러스의 감산 소식의 여파로 고공행진을 펼쳤는데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와 러시아가 주도가 되어 감산이 이뤄졌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OPEC플러스 국가들은 지난 2일 오는 5월부터 하루 116만 배럴의 원유를 감산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러시아는 3월 하루 50만 배럴 감산을 올해 연말까지 연장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국제 원유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선물도 만기를 맞아 장중 6% 이상 급등했고 하루 상승폭으로는 지난해 4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큰 폭이었습니다.



이번 석유감산이 사우디와 러시아가 주도하고있다는 측면에서 미국 조바이든 정부를 엿 먹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겨울철이 끝나가면서 원유에 대해 대규모 매도 포지션을 취했는데 산유국들의 감산 발표로 매도한 물량을 정리하면서 유가 급등세가 나타난 셈입니다.



유가가 올랐지만 전문가들은 상승세가 제한될 수 있다고 봤는데 원유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JP모건체이스의 나타샤 카네바 원자재 리서치 책임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다른 OPEC 산유국들이 5월부터 일일 생산량을 110만배럴 이상 줄일 것"이라면서도 "실제로는 감산 규모가 더 작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캐롤라인 베인 수석 원자재 경제학자는 "올해 원유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OPEC 공급도 감소하면서 2023년 원유 시장은 더욱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는데 미국의 금리인상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석유감산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페트로달러의 원칙이 중국의 등장으로 약화되면서 달러에 대한 안전성도 의심받고 있어 기축통화로써 달러의 위상이 예전만 못한 모습입니다

 

중동 산유국들은 중국과 석유거래에서 위안화 결제를 일부 허용해 주고 있습니다

 

미국 조바이든 정부는 전략비축유 추가 방출할 가능성이 크고 미연준도 금리인상을 추가적으로 강도높게 이어갈 가능성이 커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 6%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연준의 금리인상이 결국 미국 경기를 침체로 끌고갈 것 같다는 불안감이 드리우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