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live/9XKvN0LslLM?feature=shar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발표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소화하는 한편, 미국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7.00포인트(0.98%) 상승한 33,601.15에 거래를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20포인트(0.37%) 상승한 4,124.5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2.45포인트(0.27%) 하락한 12,189.4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소속 산유국들은 지난 2일 다음달부터 하루 100만 배럴 이상 원유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로 인해 브렌트유 가격은 6% 이상 급등해 1년 만에 가장 큰 하루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유가가 오르면서 뉴욕증시에서 에너지 관련주들이 호조를 보였는데 셰브론은 주가가 4% 이상 올랐고, 엑슨모빌 주가는 5.9%대 급등했습니다.
전기차 관련 종목들 주가가 급등락했는데 테슬라의 지난 1분기 차량 인도량이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월가의 예상을 소폭 하회하면서 테슬라 주가는 6% 이상 급락했습니다.
리비안 오토모니브 역시 주가가 1% 이상 내렸는데 리비안은 전분기보다 인도량과 생산이 모두 줄어들면서 주가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도 더욱 커졌는데 이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경로가 더 높은 수준에서 오래 지속될 가능성에 OPEC플러스의 갑작스런 감산을 비난했습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OPEC의 이번 결정은 놀라운 일이지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며 "유가는 변동이 심해 따라잡기 어렵지만 일부가 인플레이션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연준의 일을 좀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SYZ프라이빗뱅킹의 루크 필립 투자 책임자는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며 "에너지 가격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다시 반등하기 시작하면 중앙은행에는 좋은 시나리오가 아닐 것"이라고 말했는데 미연준의 금리인상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페트로달러의 가치가 떨어지면 추가 감산을 통해 국제유가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커 달러가치를 끌어올려 국제유가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날 미국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증시 상승세는 제한되는 모습인데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6.3을 기록했다고 밝혔고 이는 2020년 5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집계하는 3월 제조업 PMI도 49.2로 위축 국면에 머물렀습니다.
미국의 2월 건설지출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보다 0.1% 감소하며 월가의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이날 부진한 경제 지표는 경기 침체 우려를 다시 자극하며 주가 지수 상승을 제한했습니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빅터 폰스포드 분석가는 "산유국들의 자발적인 감산에 따른 올해 남은 기간 유가 상승 전망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며 "이는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에 대한 매파적 입장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월가의 대표적인 강세론자 제레미 시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와튼스쿨의 교수는 CNBC에 출연해 OPEC+의 감산은 인플레이션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그러나 동시에 증시가 올해 남은 시간 동안 추가 상승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의 글로벌·유럽 증시 전략 수석인 미슬라브 마츠테카 전략가가 이끄는 증시 전략가들은 올해 남은 기간 주식 시장이 약세장이 예상된다면서 투자자들에게 주식 비중 축소를 권고했습니다.
이들은 "우리는 지난해 4분기 증시에 대해 강세 입장이었고, 작년 연말의 강세가 올해 1분기까지 퍼질 것으로 예상했었다"며 "그러나 지금부터는 증시에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업종 지수 별로 보면 에너지 지수가 4% 이상 급격히 올랐고 헬스, 소재, 통신 관련 지수도 상승했다. 반면, 임의 소비재와 부동산, 유틸리티 관련 지수는 하락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47.0%로 반영됐는데 연준이 5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53.0%로 나타났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15포인트(0.80%) 하락한 18.5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OPEC+의 감산은 사우디가 주도하여 이뤄진 것으로 러시아도 전비 마련을 위해 나쁘지 않아서 한 동안 감산이 지속될 수 있고 이는 미국과 서방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사우디와 러시아가 미국에 엿을 먹였다고 보는 것이 맞고 우리나라는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무역수지가 13개월째 적자를 이어가면서 국제유가 상승은 무역수지 적자폭을 더 늘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무능이 사태를 더 악화시킬 것으로 보여 경제위기의 시간이 한발 더 가까이 다가온 느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카 경기침체에 중고차 인기 상승 실적 기대감 (2) | 2023.04.04 |
---|---|
OPEC+ 석유감산 전격 발표 국제유가 일제히 급등세 (0) | 2023.04.04 |
알에프세미 경영권 매각 최대주주 교체 감사보고서 제출 소식에 상한가 (0) | 2023.04.03 |
다날 가상자산 '페이코인'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협의체 '닥사'(DAXA)에서 퇴출 통보 (0) | 2023.04.03 |
성신양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충북 단양 리튬광산 존재 확인 수혜 기대감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