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글과컴퓨터는 국내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 ‘세종1호(Sejong-1)’가 25일 오후 2시35분(한국 기준 26일 오전 3시3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너버럴에 있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세종1호는 발사 후 지상국과의 교신까지 완료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했음이 확인됐는데 당초 발사 성공 후 두 시간 내외로 예상됐던 지상국 교신이 늦어지면서 '우주 미아'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7시간 36분만에 교신에 성공, 마침내 '민간 위성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한컴 세종1호는 크기 100×200×300㎜, 무게 10.8㎏의 나노급 초소형 저궤도 인공위성으로, 지상으로부터 500㎏ 궤도에서 약 90분에 한 번씩 하루에 12~14회 지구를 선회하는데 발사 후 약 한 달간 시험테스트를 거쳐 5m 해상도 카메라로 지구관측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한컴은 위성영상 데이터의 수요가 높은 농업 국가, 분쟁 국가 등이 많이 분포된 아시아 및 중동 지역을 우선 공략하여 서비스해나갈 계획입니다.
한컴은 이번 세종1호 발사를 통해 인공위성과 드론, 완성형 초고해상도 센서를 기반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주-항공-지상을 모두 커버하는 영상 데이터 서비스 벨트를 구축하게 됩니다.
2023년 상반기 세종2호를 추가 발사하고, 하반기에 3호와 4호, 2024년 5호까지 총 5기 인공위성을 순차 발사할 예정인데 5년 내 50기 이상을 발사해 군집위성 체계를 구축할 계획으로 내년 발사할 4기부터는 초소형 인공위성과 탑재체를 직접 제작할 예정입니다.
지난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페이스이노베이션사업 중 '6G 저궤도 통신 실증을 위한 초소형 통신위성 시스템 개발' 과제 주관사업자로 선정된 한컴인스페이스는, 2025년 초소형 저궤도 통신위성 발사를 목표로 6G 시대를 대응하는 인공위성 사업영역 확대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세계 우주 시장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인공위성 영상 서비스나 초소형 인공위성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 영상 시장은 2020년 26억달러(약 3.4조원)에서 2030년 73억달러(약 9.4조원)로 3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민간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첫 발을 내딛은 것이지만 발사체를 갖지 못한 제한된 측면의 사업이라 아직까지는 수익성이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직원 급여 10% 이상 인상 최저시급 22달러 돌파 (0) | 2022.05.26 |
---|---|
코렌텍 인공고관절 인공비구컵 제품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획득 (0) | 2022.05.26 |
엔터주 게임주 지난해 한류 관련 수출 15조원 육박 소식에 반등 (0) | 2022.05.26 |
태양광발전 관련주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원전추월 소식에 급등세 (0) | 2022.05.26 |
항공주 유럽연합(EU) 경쟁당국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심사 관련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의견 청취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