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해 마지막 기업공개(IPO) 대어인 카카오페이가 상장하면서 ‘카카오패밀리’의 시가총액이 120조 원에 육박할 정도로 크게 늘었는데 삼성과 SK·LG·현대차그룹 등 기존 재계 강자들에 이어 5위에 해당하는 시총 기록입니다.

 

앞으로 IPO 시장 문을 두드릴 카카오 계열사들이 남아 있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그룹주 시총 순위의 지각변동이 예상됩니다.

 

카카오페이의 이날 기준 시가총액은 25조 1,609억 원으로 코스피 13위(삼성전자 우선주 제외)에 오르며 대어다운 면모를 보여줬는데 현대모비스와 크래프톤 등을 굵직한 기업들을 제치고 같은 그룹 내 금융 계열사인 카카오뱅크(28조 2,210억 원)와의 차이도 불과 3조 원에 그치며 상장 첫날 화려하게 등장했습니다.

 

카카오페이 상장에 힘입어 카카오그룹(카카오·카카오뱅크·카카오게임즈·카카오페이) 시총은 110조 원을 넘겨 12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데 카카오그룹 시총은 이날 종가 기준 116조 3,418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그룹사 시총 5위에 올라섰습니다.

 

시총 기준 그룹사 순위는 삼성그룹(624조 원), SK그룹(197조 원), LG그룹(132조 원), 현대차그룹(130조 원) 순으로 4위와 차이는 14조 원으로 좁혀졌고 LG그룹의 상장 계열사가 14개, 현대차그룹이 12개라는 것을 감안하면 카카오그룹은 5개 계열사만으로 국내 굴지의 그룹과 시가총액에서 비견될 수 있는 숫자를 기록한 것은 성장성 면에서 기대감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제조업 중심의 기존 재벌들과 차이를 보이며 성장성에도 기대감을 갖게 하는 것으로 고용의 질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재벌대기업의 일자리는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들이 하청을 하는 일자리라면 카카오의 일자리는 서비스업으로 비대면 비정규직 일자리지만 각종 복지제도와 대우는 정규직에 준하는 수준이라 재벌대기업과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교과서 속에 배운 서비스업 중심으로 선진국 산업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대변하는 것 같습니다

 

시장도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