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선업계와 철강업계가 상반기 조선용 후판값 협상을 두고 팽팽한 입장 차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올해 철광석 가격이 대폭 오르면서 원자재 가격 추이가 막판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 업계는 현재 상반기 후판 공급 가격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지난해 하반기에는 톤(t)당 10만원 내린 110만원에 합의했지만, 이번에는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시장에서는 가격 인상 쪽으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라 다시한번 후판가격 상승 우려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철광석 가격은 지난 7일 기준 톤당 128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상반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최고점을 기록한 162.75달러와 비교했을 때 다소 낮은 수치나, 지난해 하반기 최저치(79.5달러)와 비교했을 때는 61%나 올랐습니다.
철광석 가격은 지난해 초 전쟁 여파로 톤당 160달러를 뛰어넘었지만 같은해 하반기 전 세계에 불어닥친 경기침체와 국제유가 하락 여파에 맞물려 70달러선까지 내려왔고 이후 11월을 기점으로 시작된 중국의 리오프닝(경제재개 활동)에 따른 기대감으로 철광석 가격은 지난해 초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자 두 업계는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 후판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는 조선업계는 비상이지만, 철강업계에 있어 후판은 핵심 매출원이기 때문인데 선박에 사용되는 재료인 후판은 조선 생산원가의 약 20~30%를 차지합니다.
실제 지난해 상반기 두 업계는 뚜렷한 원자재 가격 상승에 후판 가격을 톤당 10만원 높였고, 이에 따라 조선업계는 수주 호황 속에서도 대규모 손실을 겪었는데 지난해 기준 한국조선해양은 유일하게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은 아직 적자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같은해 하반기에는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에 후판 가격이 톤당 10만원 인하돼 분위기가 뒤바꼈고 이에 당시 업계는 조선업계가 약 50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절감했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통상 가격 협상은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한 번씩 진행되는데 상반기는 보통 3월 말에서 4월 초에 마무리되는데 다만 지난해에는 폭등한 원자재 가격으로 협상에 진통을 겪어 5월 말에 마무리된 점을 미뤄보면 올해도 비슷한 시기에 협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가격 인상 가닥에도 조선업계는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는데 업체별로는 한국조선해양이 현재까지 41척·53억4000달러를 수주했고 이는 연간 수주 목표액의 33.9%를 달성한 것입니다.
삼성중공업도 올해 수주 목표의 21%를, 대우조선해양도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빠르게 수주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선박 수주도 중국을 압도했는데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발주량은 210만CGT로,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고 한국은 이 중 156만CGT(34척)를 수주해 74%란 압도적인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의 수주량은 17만CGT(9척)에 그쳤는데 이는 LNG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의 발주 증가가 주원인이 되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에도 철광석 가격이 올라 가격이 인상됐는데, 올해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가격 인상에 무게가 쏠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원자재 가격은 대내외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장담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조선업계가 수주를 잘하고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데 철광석 가격 상승으로 후판가격이 오르는 것이라 철강업계를 탓할 수만 없는 문제입니다
조선사들이 수주를 하고 후판 등 원자재들을 발주하는데 이 기간에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수주할 당시와 원가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유탄을 맞고 있는 것으로 조선사들의 흑자전환이 올 해도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코스닥 상장 로봇관련주 투자설 푸른기술 현대위아 협동로봇 납품이력 부각 (0) | 2023.03.09 |
---|---|
양자암호통신관련주 국정원 심사 앞두고 세계 최초 상용화 기대감에 급등세 (0) | 2023.03.09 |
암호화폐은행 실버게이트 캐피탈(SI) 청산 선언 주가 폭락세 (0) | 2023.03.09 |
미국증시 제롬파월 연준의장 매파발언 악재 소화 혼조세 마감 (0) | 2023.03.09 |
윤석열 대통령실 외환거래자유화 "신외환법" 기획제정부 제동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