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금호아시아나그룹(금호그룹)의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 등을 받는 박삼구 전 금호그룹 회장이 15일 오전 검찰에 출석했습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이날 오전 9시께 박 전 회장을 불러 조사하고 있는데 박 전 회장은 이날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습니다.

박 전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등 계열사를 이용해 자신의 지분이 높은 금호고속을 부당지원한 혐의를 받고있는데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행위와 관련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320억원을 부과했습니다.

공정위에 따르면 금호아시아나그룹은 2016년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독점 사업권을 스위스의 게이트그룹에 넘겼는데 게이트그룹은 1600억원 규모의 금호고속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무이자로 인수했고 이 거래로 금호고속은 162억원 상당의 이익을 본 것이 공정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BW 인수 거래가 늦어지면서 금호고속 자금사정이 어려워지자 금호산업을 비롯한 9개 계열사가 45회에 걸쳐 총 1306억원을 담보 없이 정상 금리(3.49∼5.75%)보다 낮은 1.5∼4.5%의 금리로 금호고속에 돈을 빌려줬습니다.

이 과정에서 금호고속이 약 169억원의 금리 차익을 얻고, 박 전 회장을 비롯한 총수 일가는 특수관계인 지분율에 해당하는 이익(최소 77억원)과 결산 배당금(2억5000만원)을 챙긴 것으로 공정위는 판단했습니다.

공정위는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 박 전 회장, 당시 전략경영실 임원 2명을 검찰에 고발했고 금호아시아나그룹 전략경영실 윤 모 전 상무와 공정위 직원이 돈을 주고 받은 혐의도 이 과정에서 드러났습니다.

이달 초에는 박 모 전 그룹 전략경영실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몰락사 한 가운데 박삼구 전 회장이 있는데 형제경영으로 유명했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박삼구 전회장의 탐욕에 동생인 박찬구 금호석유 회장이 반발해 계열분리를 해 나가고 그 과정에서 지금의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의 싹이 뜬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해체 과정에서 박삼구 전 회장이 무리한 레버러지로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인수로 재계 덩치만 키웠지 그럽 전체가 재무적 위험에 노출되어 결국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하고 대부분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수모를 겪었고 이 과정에서 금호타이어는 중국자본에 매각되고 금호산업을 찾아와 다시 그룹을 재건하는가 했지만 없는 돈으로 지배구조를 강화하려다 결국 아시아나항공 이용객들에게 밥도 주지 않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아시아나항공 기내식을 중소업체에 맡겼다가 중소기업 사장님이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만들었던 장본인이 박삼구 전 회장입니다

전형적인 재벌 금수저의 무능력을 보여준 전형인데 금호아시아나그룹 경영권이 박삼구 전회장이 아니라 박찬구 회장에게 돌아갔다면 어땠을 까 생각해 봅니다

나중에 밝혀진 것인데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사태 때 박삼구 전 회장은 중국에서 열리는 골프대회에 참석하느라 아시아나항공 비행기를 이용했는데 그 비행기에는 기내식이 정상적으로 실렸다고 하더군요

경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금수저 후계자가 호남 최대 재벌을 어떻게 순시간에 망가뜨렸는지 지켜 보았을텐데 그렇기 때문에 경영능력 검증이 중요한 것입니다

아무리 똑똑한 인재들이 보필한다고 해도 최종결정권자가 독똑하지 못하면 그 기업의 끝은 불행으로 끝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 사회가 키워낸 수 많은 인재들이 평생을 몸받쳐 키웠을 회사에서 원치 않게 떠나고 인생의 전환점을 맡게 된 것이 이런 무능력한 경영자의 오판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물론 똑똑하고 경험 많은 경영자도 실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박삼구 전 회장처럼 남의 생명을 빼앗는 불법을 저지르지는 않습니다

지금도 아시아나항공에 기내식을 납품하던 중소기업은 왜 자기 사장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고 그 가족의 아버지가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지 이해할 수 없을 겁니다

남에게 해를 끼치고 두 다리편하게 펴고 사는 게 공평한 세상은 아니지요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