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4HtplVDkN4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소매 기업들의 실적 악화에 물가 상승 압박에 대한 우려가 되살아나면서 폭락했습니다.

 

1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64.52포인트(3.57%) 하락한 31,490.07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5.17포인트(4.04%) 떨어진 3,923.68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66.37포인트(4.73%) 급락한 11,418.1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6월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고 나스닥지수는 이달 5일(4.99%↓) 이후 최대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투자자들은 월마트에 이어 타깃의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자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기업들의 비용 압박이 커지고,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는데 타깃은 이날 예상치를 밑도는 순이익을 발표했는데 매출은 예상을 웃돌았으나, 연료비 상승과 인건비 증가로 소매 업체들의 비용 부담이 증가했음을 시사했고 또한 타깃은 TV와 같은 임의소비재 상품의 판매량이 예상보다 부진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날 월마트도 공급망 차질에 따른 비용 압박을 언급한 바 있고 더구나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면서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소매업체들의 주가가 동반 하락했습니다.



타깃과 월마트의 주가는 각각 24%, 6% 이상 하락했고 메이시스와 콜스의 주가도 각각 10%, 11% 이상 떨어졌고 다른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와 달러 제너럴, 달러 트리의 주가도 모두 10% 이상 급락했습니다.

 

미국 소매업체들의 주가폭락은 인플레이션이 소비둔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기업실적에 불안감을 드리우고 있는 것입니다

  

건축 자재업체 로우스는 예상치를 웃돈 순이익에도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는 5% 이상 떨어졌고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주가도 7% 이상 떨어졌으며, 대형 기술주들도 크게 밀렸는데 애플과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의 주가는 모두 5% 이상 하락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전날 한 행사에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연준이 계속해서 금리를 인상해나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는데 연준은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를 잡으면서도 성장을 유지하는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가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개장 초 하락세를 보였던 국채 가격은 안전자산 선호에 오름세로 돌아섰고,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는 가파르게 하락했는데 10년물 국채금리는 개장에 앞서 3% 수준에서 장 마감 시점에 2.89%까지 떨어졌습니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웃도는 수준을 유지하면서 휘발유 가격도 크게 올라 가계의 부담도 커지고 있는데 미 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갤런(1갤런=3.8L)당 4.567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는데 휘발유 가격은 한 달 전보다 48센트 올랐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1.52달러 상승했습니다.



야데니 리서치는 미국 가계의 연간 휘발유 부담이 5천 달러(약 634만원)에 달한다고 추정했고 이는 1년 전 기록한 2천800달러(약 355만원)의 거의 두 배 수준으로 3월 추정한 3천800달러(약 482만원)에서도 추가로 오른 것입니다.

 

올해 4월 미국의 신규 주택 착공과 허가 건수는 감소세를 보였는데 미 상무부에 따르면 4월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은 전월 대비 0.2% 감소한 연율 172만4천 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했고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4% 감소보다는 덜 줄어든 것입니다. 



같은 기간 신규 주택 착공 허가 건수는 전월보다 3.2% 감소한 181만9천 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는데 공급망 차질과 대출 금리 상승 흐름 속에 주택 착공과 허가가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임의소비재와 필수소비재 관련주가 모두 6% 이상 급락했고 기술주는 4%, 산업과 통신 관련주는 3% 이상 떨어졌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소비에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이것이 실적 보고서에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소비둔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사실은 아마존과 월마트, 타킷의 실적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안으로 여기에 국제유가마져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공급망 문제에 비용증가가 더 큰 부담으로다가오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소비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은 소비둔화가 경기침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키워주고 있는 것으로 대형IT업체들을 제외하고 중소형 전통산업들은 큰 위기에 직면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91.3%를 기록했고 전날의 86.2%에서 높아진 것으로 이미 시장참여자들이 다 인정하고 있는 것이라 의미없는 수치가 된 것 같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4.86포인트(18.62%) 급등한 30.96을 기록해 투자자들의 공포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이 소비둔화를 가져오고 이것이 경기침체를 가져올 것이라는 공포감이 시장에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소매업체들의 실적둔화는 기업실적 둔화로 연결될 수 있는 사안으로 미국인들의 소비가 줄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준의 속도조절론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배경이 되고 있는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공급망 문제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올리고 있어 금리조작만으로 이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