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웹툰 ' #스위트홈 '은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등 9개 언어로 전 세계에 서비스되면서 글로벌 누적 조회 수 12억회를 돌파했고 또 네이버웹툰 자회사 #스튜디오N#스튜디오드래곤 이 공동 제작한 #넷플릭스오리지널 시리즈 '스위트홈'은 공개 4일 만에 전 세계 13개국에서 #넷플릭스차트1위 에 올랐습니다.

이와 관련 넷플릭스는 "스위트홈 공개 이후 첫 4주 동안 전 세계 2200만 유료 구독 가구가 스위트홈을 시청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카카오엔테인먼트 가 영화로 만든 ' #승리호 ' 역시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90여개국에 동시 공개된 뒤, 단 하루 만에 인기 영화 전 세계 1위를 석권했고 또 28일 동안 2600만 가구가 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네이버가 총 167개 #웹툰지식재산권IP 기반으로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 영상화 작업에 나섰습니다.

' #네이버웹툰 '과 최근 인수한 세계 최대 #웹소설플랫폼 ' #왓패드 '가 각각 운영한 IP를 통합한 결과로 카카오도 향후 3년 간 자체 웹툰·웹소설 65개를 영상화한다는 목표로 이를 통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K-엔터테인먼트' 글로벌화 하는데 앞장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네이버웹툰 '스튜디오N'과 '왓패드 스튜디오' 간 협업을 통해 글로벌 영상사업을 강화할 예정인데 앞서 네이버웹툰이 지난해 글로벌 애니메이션 기업 크런치롤과 '신의 탑', '갓 오브 하이스쿨', '노블레스'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호평을 받은 것의 연장선으로 이 중 신의 탑은 월간활성사용자(MAU)가 3억3000만명에 달하는 미국 소셜 뉴스 웹사이트 '레딧' 주간 인기 애니메이션 랭킹에서 1위를 차지, 애니메이션은 물론 원작 웹툰 IP가 가진 콘텐츠까지 극찬을 받았습니다.

네이버는 또 네이버웹툰 미국 법인 ' #웹툰엔터테인먼트 '를 통해 #웹툰IP 기반으로 미국 현지 시장을 공략할 계획인데 이를 위해 글로벌 영상 제작 스튜디오 3곳과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영화 '인베이전' 등을 만든 #미국버티고엔터테인먼트와 미국 애니메이션 제작사 #루스터티스스튜디오 를 비롯해 영화 '설국열차' 등으로 유명한 하연주 대표가 이끄는 #바운드엔터테인먼트 가 주요 파트너사입니다.

네이버 측은 "루스터 티스 스튜디오와는 액션 시리즈물을 공동 제작하기로 했다"며 "바운드 엔터테인먼트와도 미국에서 방영될 SF TV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고 이어 "네이버웹툰이 미국 현지에 선보였던 작품 '로어올림푸스'는 현재 짐 핸슨 컴퍼니와 애니매이션으로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도 #북미웹툰플랫폼타파스, #웹소설플랫폼래디쉬 인수가 마무리된 만큼,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특히 영상화 작업과 관련, '나빌레라', '승리호', '경이로운 소문' 등처럼 웹툰 IP 기반 히트작 제작을 이어갈 방침으로 특히 승리호는 카카오엔터 전신인 카카오페이지와 영화투자배급사 메리크리스마스가 SF 기대작 #승리호IP 를 기반으로 각각 웹툰과 영화를 제작한 사례로 꼽히는데 이른바 '승리호 IP 유니버스'입니다.

카카오엔터 측은 "기존 IP 비즈니스가 웹툰, 웹소설을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하는 2차 창작물로 국한됐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IP 비즈니스는 자사 IP는 물론 세계관이 탄탄하고 확장성이 있는 타사 IP에도 직접 투자해 IP 유니버스를 만들어가는 전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카카오엔터는 지난 2006년부터 2020년까지 약 65개 가량 웹툰 IP를 영상화했고 또 올해부터 향후 3년 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상화 작품 수도 65개 정도로 제시됐습니다.

카카오엔터 측은 "글로벌 거점인 북미 지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웹툰과 웹소설 IP가 가치 있게 소비될 수 있도록 'K-스토리를 위한 글로벌 실크 로드'를 구축할 것"이라며 "글로벌화의 첫 단추는 자사 오리지널 스토리 IP가 전 세계로 뻗어갈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최근에 네이버와 카카오의 행보는 마치 20세기 일본 애니메이션이 세계를 휩쓸던 모습을 재현하는 모습인데 그때는 애니메이션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웹툰과 웹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K한류"를 하나의 세련되고 멋진 문화로 세계인에게 소개하고 있는 것입니다

20여년전만 해도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외국인을 찾는 것이 사막 가운데서 바늘을 찾는 것만큼 어려웠는데 이제는 외국인을 해외에서 만나면 "South Korea" 라는 국적 뿐 아니라 인사말 정도는 한국어로 들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요즘 말로 자고 일어났더니 선진국이 되었다는 말처럼 우리 언어와 문화를 세계인이 함께 공유하고 즐기는 시대가 되었는데 이런 흐름의 가운데 NAVER와 카카오가 자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온라인 문화를 이용해 우리 문화와 언어를 세계인에게 자연스럽게 소개하고 한국문화는 세련되고 멋진 것이라는 인식은 "Made in Korea"는 좋은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해 보입니다

특히 일본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일본 문화를 세계인에게 소개하고 일본 것은 우수하고 좋은 것이라는 인식으로 아날로그 시대를 풍미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디지털시대에 우리 웹툰과 웹소설이 IP가 되어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한류를 소개하는 통로가 되고 있습니다

미래의 소비주체인 아이들마져도 한국것이 세련되고 좋은 것이라는 인식은 우리 아이들에게 먹거리를 물려주는 것으로 물고기를 잡아 주는 것이 아니라 물고기들이 모여 있는 어장을 다음 세대에 물려주는 것이 되고 있습니다

실로 20여년 만에 벌어진 이 놀라운 광경은 IMF구제금융 당시 "아메리칸 스탠다드"라는 미국식 자본주의를 강요받으며 철저하게 사회경제적개조를 요구받았던 때를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라는 말 밖에 안 나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일본소니" 와 "파라소닉"이 뭔지 모를만큼 우리 제품과 우리 것이 더 우수하다는 인식을 물려줄 수 있게 되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1세기 출발고 함께 참 빨리도 뛰어갔던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