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F-21 전투기에 전파흡수 기능을 갖춘 스텔스 도료(RAM 페인트)가 적용됩니다.



13일 방위사업청 등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위탁해 개발된 민간 스텔스 도료를 KF-21 전투기에 적용하는데 지난해 개발을 완료하고 성능 평가도 통과했습니다.



KAI는 내년 7월부터 4년간 2200여회 비행시험 과정에서 스텔스 도료를 KF-21 시제기에 적용, 비행 중 여러 상황을 설정해 성능을 재검증할 예정입니다.



방사청은 KF-21에 스텔스 도료를 적용하면 F-35A 등 5세대 전투기에는 못 미치지만 피탐률이 KF-16 등 기존 공군 전투기보다 현저히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F-35A는 레이더가 방출한 전자기장이 물체를 만나 다시 돌아오는 값인 레이더 단면적(RCS)이 0.001㎡,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는 0.0001㎡로 알려져 있는데 F-22 랩터는 레이더에 골프공만 하게 포착된다는 의미로 거의 탐지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은 KF-21을 2028년까지 40대, 2032년까지 모두 120대를 실전 배치할 계획입니다.



KF-21은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지 않아 4.5세대 전투기로 분류돼 왔으나 외형은 스텔스 형태를 갖추고 있어 방사청은 단계적인 스텔스 기능 적용 계획을 밝혀왔습니다.

 

아울러 이번 국군의날 방위사업청이 공개한 시뮬레이션에서는 무인전투기와 함께 편대비행을 하며 작전에 나서는 모습이 공개되어 우리 공군이 무인전투기와 KF-21 한국형 전투기와 협동작전개념을 구상하고 있음을 알게하고 있습니다

 

이는 5세대 주력전투기를 운영하고 있는 주변 강대국 보다 앞서 있는 작전개념으로 전투기 자체는 4.5세대로 출발했지만 스텔스 도료를 통한 5세대 전투기로 업그레이드 뿐 아니라 무인전투기와 협동작전으로 전투력을 배가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