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에버그란데)가 23일 갚아야 하는 달러화 채권 이자를 가까스로 상환하면서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기를 면하게 됐는데 다만 급한 불만 껐을 뿐 여전히 만기 도래하는 빚이 줄줄이 남아 있어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22일 중국 관영 증권시보에 따르면 헝다는 전날 달러화 채권 이자 8,350만 달러(약 985억 원)를 수탁 기관인 씨티은행에 송금했는데 증권시보는 중국에서 공신력을 인정받는 자본시장 전문 매체로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헝다의 공식 입장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헝다는 지난달 23일 달러화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지만 계약에 따라 한 달간 상환이 유예됐고 이후 이달 23일 만기를 코앞에 두고 상환에 성공해 디폴트 직전에 위기를 넘긴 셈이 됐는데 앞서 헝다가 3조 원 남짓한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해온 자회사 헝다물업 지분 매각도 실패로 돌아가 위기론이 다시 불거졌었습니다.

 

시장은 가슴을 쓸어내리는 분위기로 헝다가 상환에 실패할 경우 192억 달러(약 22조 6,000억 원) 규모의 전체 달러화 채권 연쇄 디폴트 사태로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인데 로이터통신은 “헝다가 상환해야 할 다른 빚이 남아 있지만 이번 이자 지급 소식은 투자자들과 규제 당국에 안도감을 줬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자금난으로 헝다의 건설 사업이 중단된 가운데 이자 지급일이 계속 도래하는 상황이라 위기는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았는데 당장 다음 주부터 달러화 채권 이자 지급일이 두 번이나 돌아 내년까지 상환해야 할 달러화·위안화 채권 규모는 74억 달러(약 8조 7,000억 원)에 달합니다.

 

헝다의 이자 지급 소식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 책사인 류허 부총리가 “헝다 사태가 심각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없다”고 일축한 다음날 전해졌습니다.

 

신화통신은 류 부총리가 베이징에서 열린 금융가 회의에 보낸 서면 축사를 통해 “부동산 시장에서 개별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지만 위험은 전체적으로 통제 가능하다”고 밝혔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헝다위기가 한달여가 넘어가면서 위기의 노뉴멀이 되어가는 것 같아 저러다 헝다가 디폴트를 선언해도 시장은 이미 위기에 적응해 위기가 아닐 수 있다는 생각마져듭니다

 

하지만 중국의 불투명한 정보공개로 위기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위기가 불안감을 키우며 시장의 불신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중국 고위관료가 헝다 위기는 위기가 아니라고 말을 하고 있지만 저들도 그 위기가 얼마나 큰 위기인지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한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드는 상황입니다

 

중국 경기침체는 우리에게도 큰 타격이 될 수 있어 중국이 위기를 잘 넘기길 바랄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여전히 기억해야 할 것이 중국 헝다의 채권만기는 매달 돌아오고 있고 헝다 스스로 구조조정을 통해 채권상환을 할 수 있을 지는 여전히 의문이라는 사실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