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쌍용자동차 인수전이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앨비엔티·인디EV의 3파전으로 좁혀졌는데 유력 인수 후보자로 꼽혔던 삼라마이다스(SM)그룹은 인수제안서를 제출하지 않았습니다.

 

15일 자동차와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쌍용차와 매각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이날 인수제안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국내 전기버스제조업체 에디슨모터스와 전기차·배터리업체 이엘비앤티(EL B&T), 미국 전기차 관련 업체 인디(INDI) EV 등 3곳이 참여했다고 알려왔습니다

 

자금력이 가장 우수할 것으로 평가받아 유력 인수자로 꼽힌 SM그룹은 막판 불참 의사를 밝혔는데 불참 이유에는 급변하는 자동차산업 환경 속에서 채권단 지원이 없다면 쌍용차 인수에 실익이 없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SM그룹은 자동차 부품 관련 산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직접 자동차산업을 영위하지 않은 만큼 쌍용차를 인수해 전기자동차 회사로 전환시키는데에 부담이 크다고 판단한 것 같은데 강성노조를 다루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도 같습니다.

 

우오현 SM그룹 회장은 국내 언론에 “자동차에 대한 상식이 너무 없었다“며 “전문가들을 통해 직접 생산공장 등을 살펴본 뒤 심사숙고한 결과 쌍용차는 우리가 인수하기에 아직 벅차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SM그룹과 2파전을 벌이던 에디슨모터스가 유력 인수후보로 떠오르고 있는데 국내 전기버스 제조업체인 에디슨모터스는 인수 및 운영 자금과 연구 개발비 등으로 2~3년 내 8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으로 앞서 에디슨모터스는 개인 투자자로부터 2700억원을 확보한 데 이어 컨소시엄을 구성한 사모펀드 KCGI·키스톤프라이빗에쿼터(PE)로부터 4000억원을 투자받았습니다.

 

에디슨모터스 인수 희망가는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5000억~6000억원 사이 금액을 적어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인수제안서에는 쌍용차의 전기차 전환에 대해 오는 2022년 10종부터 2030년까지 30종의 신형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청사진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지만 쌍용차 노조의 동의를 어떻게 구할지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쌍용차 측은 인수 희망가와 자금 확보 방안, 향후 사업 계획 등을 면밀히 평가해 이르면 이달 말 우선협상대상자 1곳과 예비협상자 1곳을 선정할 예정이고 이후 10월 초까지 구속력 있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약 2주간의 정밀실사를 진행할 예정인데 쌍용차는 인수 대금과 주요 계약조건에 대한 협상을 거쳐 11월 중에 최종 인수 계약을 체결할 계획입니다.

 

쌍용차 관계자는 “초기 인수자금 규모뿐만 아니라 인수 후 회사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고려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라며 “매각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투자계약의 내용을 반영한 회생계획안을 준비해 연내 채권단과 주주의 동의를 얻어 회생계획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채권단 입장에서 현재 인수후보로 나선 후보 중에 적임자라고 뽑을 만한 주인공이 없는 상황에서 능력도 안되는 인수자에게 넘겼다가 두고두고 논란까리만 제공하는 것이 아닌가 우려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쌍용차는 상장사지만 자본잠식 상태에서 평택공장을 매각하여 1조원의 구조조정 자금을 마련한 상황으로 인수자 입장에서는 다소 몸집을 가볍게한 쌍용차를 인수할 수 있게 되었지만 쌍용차가 갖고 있는 마지막 카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인수자의 능력으로 쌍용차를 회생시켜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되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1위인 미국 테슬라도 전기차 판매로 분기 기준 흑자를 달성한 것은 올 해 2분기가 처음으로 쌍용차가 전기차를 생산한다고 해도 시장진입부터가 미지수인 상황입니다

 

에디슨모터스도 국가보조금을 받는 전기버스 시장만 갖고 있을 뿐 최근에 인수한 쎄미시스코를 통해 전기승용차 시장은 처음 진입한 상태입니다

 

누가 되든 쌍용차 경영권을 채권단으로부터 넘겨받는 순간부터 쌍용차 정상화에 책임을 지게 되어 있어 자칫 승자의 저주가 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