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대로 둔화했다는 소식에 소폭 상승했는데 지수에 선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6.96포인트(0.64%) 오른 34,189.97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56포인트(0.34%) 상승한 3,983.17로, 나스닥지수는 69.43포인트(0.64%) 뛴 11,001.10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12월 CPI가 전월 대비로 하락세를 보이고, 전년 대비로도 상승폭을 낮췄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은 안도했는데 다만 이날 시장에는 '뉴스에 팔자' 흐름이 나오면서 장 초반 주가는 약세를 보였고 장 후반 소폭 올려놓으면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상승폭도 전날 인플레이션 둔화 가능성을 선반영하면서 크지 않았는데 전형적인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라는 장세가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12월 CPI는 전년 같은 달보다 6.5% 올라 11월 기록한 7.1% 상승에서 상승률이 추가로 둔화했는데 이날 수치는 시장의 예상치와 같았고 12월 CPI는 계절조정 기준 전월 대비로는 0.1% 하락해 2020년 5월 이후 첫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 대비 5.7% 올라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고 11월의 6.0% 상승에서 둔화했고 12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로는 0.3% 올라 11월의 0.2% 상승에서 소폭 높아졌으나 시장 예상치에는 부합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 소식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2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도 커졌는데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남아 있기 때문에 유동성을 흡수하는 금리인상을 지속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한 행사에 참석해 올해 금리가 몇 차례 더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향후 금리 인상 폭은 0.25%포인트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했고 전날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0.25%포인트 금리 인상 쪽을 지지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연준은 아직 할 일이 더 많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더 신중한 속도로 금리를 올리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말했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으나 시장이 예상하는 것만큼 빠르게 완화되지는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금리가 5%를 웃도는 수준으로 가능한 한 빠르게 이동하길 원한다면서도 향후 금리 인상 속도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고용 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였는데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7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1천 명 감소한 20만5천 명으로 집계됐고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1만 명보다 적은 것으로 미국경제가 침체에 빠지지 않고 경기회복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S&P500 지수 내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헬스 관련주만이 하락하고 나머지 8개 업종이 올랐는데 에너지와 부동산 관련주는 1% 이상 상승했습니다.
아메리칸항공의 주가는 4분기 실적 예상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9% 이상 올랐고 넷플릭스 주가는 제프리스가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0.9%가량 올랐습니다.
최근 폭등세를 보여온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의 주가는 50% 이상 올랐는데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S3파트너스는 공매도 포지션에서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가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는데 쇼트 스퀴즈는 주가 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매도한 공매도 투자자가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해당 주식을 되사면서 다시 주가가 급등하는 것을 말해 숏커버링과 같은 뜻을 나타냅니다.
카바나의 주가도 쇼트 스퀴즈 추정 매수세로 46% 이상 올랐는데 파산설이 나와 주가폭락이 나타난 종목들에서 공매도 숏커버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월트 디즈니 주가는 마크 파커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출했다는 소식에 3% 이상 올랐습니다.
최근 반등을 모색해온 테슬라의 주가는 0.3%가량 오르는 데 그쳤는데 JP모건체이스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지난 한 주간 7억4천600만 달러(약 9천310억 원)어치의 테슬라 주식을 매도했으며 지난 3주간 21억 달러(약 2조6천208억 원)어치를 매도해 테슬라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는 모습입니다.
JP모건체이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주가는 다음날 실적 발표를 앞두고 보합권에서 움직였는데 JP모건체이스는 0.1% 하락하고, BofA 주가는 0.2%가량 올랐고 씨티그룹과 웰스파고도 다음날 실적을 발표합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전날 시장이 이날 결과를 선반영했다면서도 2월 연준의 행보에 대해서는 여전히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는데 금리인상 폭이 25bp로 줄어들 것으로 보이고 상반기 중 금리인상이 멈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인상이 멈추더라도 연 5% 이상의 기준금리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시장내 유동성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 지속될 수 있어 보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미 연준이 오는 2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6.2%로 전장의 76.7%에서 크게 상승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26포인트(10.72%) 하락한 18.83을 나타냈습니다.
미국과 우리나라는 확실히 디커플링 되어갈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작년 김진태 사태로 시장에 쏟아 부은 100조원대 유동성을 다시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보다 더 오랫동안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랩스 액면병합과 대규모 유증 효과 품절주 부각 상한가 (0) | 2023.01.13 |
---|---|
SK온 포드와 투르키예 4조 전기차배터리 공장 투자 백지화 SK이노베이션 주주들 반발 (2) | 2023.01.13 |
2023년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 (0) | 2023.01.13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윤석열 대통령 UAE국빈방문 수혜 기대감 (0) | 2023.01.12 |
제넥신 유무상증자 성공 저가매수세 유입 중 자궁경부암치료제 임상 2상 기대감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