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애플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치열한 매매 공방 속에서 큰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실적 기대가 큰 대형 기술주가 증시를 이끌며 나스닥지수와 S&P500은 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5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98포인트(0.12%) 하락한 30,960.00에 마감한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3.89포인트(0.36%) 오른 3,855.3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2.93포인트(0.69%) 상승한 13,635.9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주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대거 예정돼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실적으로 이동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급 차질 우려 속에서 기술주의 주가 흐름이 돋보였고 상대적으로 경기 민감주는 소외돼 나스닥 주도 장세는 이날도 이어졌습니다.

특히 기관과 개인의 힘겨루기 속에서 변동성이 컸는데 다우지수는 장중 400포인트 이상 떨어졌고, S&P500은 한때 1.15%, 나스닥은 1.29% 내리는 등 널뛰기 장세를 보였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헤지펀드 등 공매도에 맞서 특정 주식을 집중 매수했고, 헤지펀드들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매수 수요를 가파르게 늘리는 숏스퀴즈에 나서 일부 종목이 급등했는데 단기 투자자의 차익실현 매물도 빠르게 쏟아져 장중 주가가 급등락했습니다.

S&P 500 지수 구성 종목 가운데 5분의 1 이상,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의 3분의 1 이상이 이번주 실적을 공개하는데 스타벅스, 버라이즌, 마이크로소프트가 오는 26일에, 애플과 테슬라, 페이스북이 오는 27일에 성적표를 내놓습니다.

몇 달간 지속한 자택 대피령으로 이익을 보는 기업과 피해를 본 기업이 뚜렷하게 나뉘었는데 회사와 가정들이 원격으로 운영하면서 디지털 기술 사용을 늘려 대형 기술주들은 주로 수혜주로 여겨지는데 지난주 넷플릭스는 좋은 실적을 내놔 기술주들의 실적 기대를 자극했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전세계 봉쇄 조치가 다시 강해졌고, 정상으로 복귀하는 시기가 언제일지 불확실성이 커졌고 이는 기술 수요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데다가 더 치명적이기까지 하다는 연구 결과가 추가로 나오는 등 코로나19 사태 부담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신속한 백신 배포 기대도 다소 가라앉았는데 머크는 지난해 8월부터 개발해온 코로나19 백신 임상 1상 시험 중간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했다며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고 앞서 사노피도 지난해 연내 개발에 실패하는 등 주요 백신 개발 경쟁에서 이탈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화이자는 제조에 문제를 겪고, 미국은 2차 접종분을 보존하지 않고 재고를 빠르게 소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난주 아스트라제네카는 유럽지역에 공급할 수 있는 백신의 초기 물량이 예상보다 적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코로나19 백신의 접종 간격 확대에 우려를 표하면서 이는 더 많은 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고강도 경제 활동 제약 조치를 내놓은 독일의 기업 경기 신뢰도는 하락했는데 독일 Ifo 경제연구소는 1월 기업환경지수가 90.1로, 전월의 92.2에서 하락했고 월가 예상치인 91.9보다도 낮았습니다.

애플은 2.77%, 테슬라는 4.03% 올라 증시 전반에 활력을 제공했고 마이크로소프트와 페이스북도 1% 이상 올랐습니다.

미국 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탑 주가는 행동주의 투자자의 지분 취득, 공매도 세력과 강세론자의 힘겨루기 속에서 장중 140% 이상의 폭등세를 보이다 한때 하락 전환하는 등 엄청난 변동성을 나타냈는데 게임스탑과 같은 마니아주 주가 흐름에는 투기 세력이 매우 깊게 관여돼 있는데 시장이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움직이고, 이런 열기가 끝나면 시장 전체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는 부분입니다.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이날 경제지표는 혼조세였는데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이 집계한 12월 전미활동지수는 0.52로, 전월의 0.31에서 상승했는데 팩트셋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컨센서스인 0.10보다 높았습니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관할 지역 제조업체들의 활동 지수는 1월에 7.0으로, 전월 10.5에서 하락했습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기업 실적으로 초점이 이동하면서 기술주 강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CMC 마켓츠의 마이클 휴손 수석 시장 분석가는 "이런 대형 기술주들이 일종의 안전 피난처로 인식되고 있어 좀 더 순환주에서 빠져나오는 자금 이동이 지속할 것"이라며 "백신 공급에 차질이 있다는 얘기도 있어 백신 출시가 늦어지고 더 강한 제약 조치가 길어질 수 있으며 현재 회복세가 정체되거나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브리클리 어드바이저리 그룹은 피터 부크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매일 기업들의 몇 퍼센트가 실적 예상을 뛰어넘는지 듣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은 코로나19 때문에 가이던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6.34% 상승한 23.30을 기록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했지만 2천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의회를 통과할 수 있을 지 미지수이고 코로나19재확산에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봉쇄정책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통산업 중심의 다우지수는 하락하고 비대면 영업이 가능한 신기술기업들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는 차별화 장세가 펼쳐지는 이유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