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익실현 매물 ㅈhttps://www.youtube.com/live/PZwT02jeYFw?feature=shar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이번 주 기업들의 실적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발언을 기다리며 하락했습니다.
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99포인트(0.10%) 하락한 33,891.02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5.40포인트(0.61%) 떨어진 4,111.08로, 나스닥지수는 119.50포인트(1.00%) 밀린 11,887.4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과 다음 날 예정된 파월 의장의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토론을 주시하며 차익 실현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지만, 고용이 이후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점에서 연내 금리 인하 기대를 크게 낮추는 발언을 내놓을지 주목되는데 금요일 나온 고용 보고서로 투자자들은 연준이 만든 고금리 환경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후에 5월에도 0.25%포인트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1주일 전에는 5월에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절반을 넘었었습니다.
1월 고용 호조에 고용추세지수도 개선됐는데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하는 올해 1월 고용추세지수(ETI)는 118.74로 전달 수정치인 117.06에서 상승했고 이는 2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해당 지수는 고용시장을 보는 선행지수로 지수가 상승하면 고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증시가 단기적으로 빠르게 상승하면서 조정에 대한 우려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S&P500지수의 3개월 전망치를 기존 3,600에서 4,000으로 상향했으나 연말 전망치는 4,000으로 유지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연착륙, 즉 사실상 추세를 웃도는 성장이 이미 주가 지수에 반영이 됐으며, 12개월 포워드 주가수익비율(P/E)도 18.4배로 역사적인 수준과 비교해도 높다고 지적했는데 BITG 리서치의 조나단 크린스키 수석 기술적 분석가도 S&P500지수가 10월 저점에서 20% 올랐다며 4,200을 강력한 저항선으로 봤고 그는 지수가 이 수준에서 오래가지 않고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는데 레피니티브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의 절반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지난해 4분기 기업들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2.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에는 월트디즈니, 치폴레, 듀폰, 펩시코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데 개장에 앞서 육류가공업체 타이슨푸즈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다는 소식에 5%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의류업체 칠드런스 플레이스의 주가는 회사가 실적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손실을 기록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4% 이상 하락했고 페이팔의 주가는 레이먼드 제임스가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시장수익률'로 하향했다는 소식에 3% 이상 하락했습니다.
델의 주가는 직원의 5%가량을 감원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3%가량 떨어졌고 테슬라의 주가는 웨드부시가 중국 수요가 순풍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목표가를 200달러에서 225달러로 인상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2% 이상 올랐습니다.
밈 주식도 다시 급등세를 보였는데 베드배스앤드비욘드의 주가는 파산 신청이 임박했다는 우려에도 92% 폭등했고 장중에는 한때 120%가량 올라 주식 거래가 두 번이나 정지될 정도로 묻지마 매수가 유입되는 모습입니다.
AMC엔터테인먼트의 주가도 밈주식의 반등에 11% 이상 올랐고 게임스톱의 주가도 7% 이상 상승했습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 중에서 유틸리티와 필수 소비재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고 통신과 기술, 자재(소재) 관련주가 1% 이상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금리 전망과 관련해 현실을 자각하고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시장참여자들이 1월 효과가 끝났다고 할만큼 주가 상승폭이 큰 상황으로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진 상태에서 금리인하가 해를 넘길 것이라는 예상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기업실적이 아직 바닥을 찍었다고 보기 어려운 상태이지만 미국 고용률이 높기 때문에 경기침체에 빠지기 전에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미 연준이 오는 3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3.7%를 기록했고 이는 전날의 97.4%에서 소폭 하락했는데 대신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전날의 0%에서 6.3%로 올랐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10포인트(6.00%) 오른 19.43을 나타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엔젤 구글 인공지능AI '바드' 공개 수혜 기대감 (0) | 2023.02.07 |
---|---|
알루미늄관련주 미국 러시아산 알루미늄 200% 고율관세 부과 반사이익 (0) | 2023.02.07 |
동원산업 한국맥도널드 인수 추진 사업다각화 기대감 (0) | 2023.02.06 |
LX세미콘 삼성디스플레이 DDI동맹 실적호전 기대감 (0) | 2023.02.06 |
세코닉스 삼성전자 XR기기 개발 렌즈 납품 가능성에 급등세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