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K케미칼은 6일 이사회를 열고 중국 그린소재 전문업체 슈에(Shuye)사의 화학적 재활용 원료 및 화학적 재활용 페트 사업 관련 자산을 1천3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습니다.
인수 대상에는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재활용 원료를 생산하는 해중합 공장과 여기서 생산된 화학적 재활용 원료를 투입해 다시 페트를 만드는 생산설비가 포함됐습니다.
이번 자산 인수를 통해 SK케미칼은 국내 기업들보다 약 1∼2년 빠르게 해중합 기술이 적용된 화학적 재활용 원료와 제품의 상업생산 체계를 갖추게 됐고 또 화학적 재활용 원료, 화학적 재활용 페트, 화학적 재활용 코폴리에스터로 이어지는 리사이클 플라스틱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했습니다.
이로써 핵심사업인 코폴리에스터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에너지컨설팅 업체인 우드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재활용 페트 시장은 약 970만t(톤) 규모로, 아직은 기계적 재활용 페트 시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기계적 재활용은 선별·세척 등 물리적 가공을 통해 다른 제품을 만드는 것을 말하고 화학적 재활용은 열분해 공정 등으로 폐플라스틱을 분해해 원료를 추출하고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런 화학적 재활용 페트 시장은 2030년 460만t(1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인데 SK케미칼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화학적 재활용 원료, 화학적 재활용 페트 사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삼고 시장 형성 초기부터 사업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글로벌 확장과 리사이클 사업모델 고도화를 통해 세계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SK케미칼이 중국 그린소재 전문업체 슈에(Shuye)사의 화학적 재활용 원료 및 화학적 재활용 페트 사업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화학적 페트 자활용사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엠 지분경쟁 돌입 카카오 15만원 공개매수 착수 (0) | 2023.03.07 |
---|---|
69시간 노동시간 연장안 동네 바보형의 실언이 현실이 되었다 바보야 문제는 생산이 아니라 소비야 (0) | 2023.03.07 |
에이에프더블류 삼성SDI와 미국 GM 배터리합작 수혜 기대감 (0) | 2023.03.06 |
삼양사 전기차 방열 솔루션 전문기업인 나노팀과 전기차용 친환경 열관리소재 개발 착수 (0) | 2023.03.06 |
미국 칩스법 독소조항 포함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국 투자 매몰비용화 우려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