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LG전자가 모바일 사업을 매각까지 검토하기로 하면서 올해 내놓기로 한 롤러블도 결국 빛을 못 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최후의 승부수로 준비 중인 롤러블마저 실패할 상황을 걱정한 LG전자가 조기에 결단을 내린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22일 모바일 업계에 따르면 롤러블은 수년간 정체된 스마트폰 산업의 혁신을 이끌 새로운 폼팩터로 주목받아왔습니다.

LG전자에는 세계 최초 롤러블폰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할 제품으로 기대를 모았는데 그러나 이번에 모바일 사업을 전면 재편하기로 하면서 롤러블 출시가 불투명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LG전자는 "여전히 개발이 진행중"이라고 했지만, 실제 출시를 포함한 향후 계획에 대해선 "정해진 게 없다. 향후 사업 개편 방향에 따라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MC사업본부가 매각되거나 사업 계획이 변동될 경우 롤러블 개발이 중단될 수도 있다는 뜻으로 보여집니다.

업계는 롤러블에 대해 실제 출시까지 넘어야 할 난관도 많고 실패 부담도 큰 제품일 것이라고 평가했는데 실제로 LG전자는 지난해 9월 윙 공개행사에서 롤러블의 티저 영상을 깜짝 공개해 눈길을 끌었으나 이후 개발 진척도는 기대에 못 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12월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에 롤러블의 규격을 제시해 제품 공개와 출시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으나, 이달 11일 CES에서는 불과 10초가 안 되는 영상만 노출됐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만 해도 올해초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는 업계의 예상 일정은 계속 늦춰졌고, 최근에는 상반기 출시가 가능한지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LG전자로서도 과거 모듈형 스마트폰이라는 새 폼팩터를 선보인 G5가 불량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 추락을 불러온 아픈 과거가 있는 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지난해 출시한 스위블폰 윙도 판매량이 10만대에 못 미칠 정도로 부진하면서 롤러블마저 실패할 경우 사업이 존폐의 갈림길에 설 것이라는 관측이 끊이지 않았고 그나마 롤러블이 출시 후 호평을 받는다고 해도 200만원 이상 고가에 초기 생산량도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시장성에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업계에서는 LG전자가 이런 부담을 무릅쓰고 롤러블 개발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대신 더는 시장의 기대치가 떨어지기 전에 사업 재편 `버튼`을 누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최근 CES에서의 롤러블 영상 공개가 매각 전 기술력 과시를 통한 몸값 올리기 차원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누적 적자 5조원에 달하는 LG전자가 롤러블 `한방`으로 반전을 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롤러블이 성공하면 좋겠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LG롤러블이 한대에 200만원이 넘는 고가폰이 될 가능성이 큰데 문제는 양산으로 개발은 어찌어찌 해서 성공할 수 있지만 양산은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LG전자는 모바일 사업을 철수하고 사업부를 매각하기로 한 이상 추가적인 개발비 투자는 어렵기 때문에 LG롤러블은 영상속에서나 볼 수 있는 환상의 제품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