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V6XMfwnJBo

안녕하세요

카카오 노동조합이 류영준 카카오 공동대표이사 내정자에게 CEO 후보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했는데 류 내정자는 현재 카카오페이 대표이사로 최근 스톡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통해 얻은 카카오페이 보유 주식을 대거 팔면서 비난에 직면했습니다.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는 6일 성명을 통해 "카카오페이 집단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사태로 물의를 일으킨 류 내정자에 대한 사퇴를 촉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불어 카카오 지분 7.42%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공단에도 스튜어드십코드를 발동해 주주총회에서 류 내정자의 대표 선임 안건에 반대 표결을 해줄 것을 요청했는데 경영진이 스톡옵션을 행사해 얻은 회사 주식의 매도에 관련해 구체적 규제방안을 만들고 이행할 것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앞서 류 내정자를 비롯한 카카오페이 경영진은 지난해 12월 10일 스톡옵션을 행사한 뒤 얻은 카카오페이 주식 전체 44만933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는데 류 내정자 등은 스톡옵션을 통해 1주당 5000원에 카카오페이 주식을 취득한 뒤 20만4017원에 팔았고 이들이 거둔 전체 매각차익은 약 469억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를 놓고 논란이 커지자 류 내정자는 4일 직원 간담회를 열어 "저를 비롯한 경영진들의 스톡옵션 행사와 매도로 인해 불편한 감정을 느낀 모든 사람에게 송구하다"며 "상장사 경영진으로서 가져야 할 무게와 책임감에 대해 다시 고민하는 계기가 됐고 앞으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사과했습니다.



그러나 카카오지회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한 판단으로 인해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밖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며 "다른 설명하지 못한 이유가 있다고 해도 국회에서 '카카오페이 먹튀 방지법'이 논의되는 상황까지 초래한 경영진의 도덕적 책임은 면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서승욱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장은 "모든 일에는 책임이 있고 한 번의 간담회는 면죄부가 될 수 없다"며 "(류 내정자가) 책임을 지는 것은 카카오 신임 대표에서 사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해 문어발 사업 확장으로 비난에 직면했던 김범수 의장이 혁신을 카카오에 불어넣기 위해 류영준 카카오 공동대표이사 내정자를 발탁한 것인데 카카오페이 스톡옵션을 매도친 것이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입니다

 

카카오페이 상장과 함께 경영진이 주식을 대규모로 매도친 것은 도덕적 해이라고 밖에 할 말은 없는데 그것이 합법적인 형식을 띠더라도 공모주 청약을 요청한 투자자들에게는 배은망덕으로 밖에 안 보이는 것입니다

 

아무리 주식시장이 돈 놓고 돈 벌어가는 시장이라고 하더라도 도덕적 윤리적 룰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공모주 청약을 요청하러 다니면서 뒤로는 자기 주식을 팔아 먹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최소한의 예의도 없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법의 테두리 안에 있더라도 너무 성급하게 매도쳤다는 생각이 들어 비난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카카오 경영은 다른 문제라 류영준 카카오 공동대표이사 내정자가 낙마하는 것은 아까운 측면이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