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관련주 트럼프 드론산업 육성 행정명령 수혜 기대
https://youtu.be/7exqmvownpo?si=0v48wtjCByjqYIWm
좋아요 구독은 더 나은 콘텐츠 개발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러우전쟁 과정에서 드론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트럼프가 드론산업을 육성하고 드론의 본토 공격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행정명령에 싸인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영공을 통제하고, 대중과 주요 기반시설, 대규모 인파 행사, 군사·민감한 정부 시설과 작전을 부주의하거나 불법적인 무인항공체계 사용이 가하는 위협에서 보호하는 게 미국의 정책"이라고 소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시설 상공에서 드론 비행을 제한하는 규제를 마련하고, 비행 금지 구역에서 드론을 날리면 처벌을 강화하라고 지시했고 또 정부기관에 드론과 드론 신호를 감지·추적·식별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라고 주문했습니다.
드론산업은 중국 DJI가 독과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중국이 민간분야에서 앞서고있고 방산에서도 중국산을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럼프의 행정명령으로 중국산 드론에 대한 견제가 들어가 있어 미중패권전쟁이 확대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드론이 미국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고숙련 일자리를 창출하며, 항공의 미래를 재편한다면서 자국 드론 산업 기반을 강화하고 수출을 장려하라고 지시를 내렸습니다
미국 정부가 의뢰한 보고서에 인용된 업계 추산에 따르면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둔 DJI는 미국 소비자용 드론 시장의 최대 90%, 전 세계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독과점 업체로 이번 트럼프 행정명령에 타격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앞서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DJI와 아우텔로보틱스가 미국에서 신규 드론 모델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금지할 수 있는 법안에 서명한 바 있습니다.
중국 DJI에 대한 견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우리 드론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드론 산업 육성책은 있어도 정부 차원의 지원책은 찾아보기 어려운데 이전 문재인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정책 2.0 수준에 머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재명 정부에서 드론에 대한 산업적 육성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